세금·세무
일반적으로 기업체에서 매월 급여를 산정할때 세금기준을 이렇게 정하나요?
단순 연봉계약서상 적힌 연봉에 대한 세금이 아니라
월초 받은 상여금 및 기타 보너스 금액도 가상으로 산정하여 연봉에 포함 하여 세금을 떼는게 일반적인가요?
네이버 연봉계산기로 돌린 세금보다 훨씬 많이 떼고 있어서 물어보니 이렇게 답변이 왔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개인이 근로자로서 회사에 근로용역을 제공하고 회사로부터 급여, 수당, 상여금 등을 지급받는 경우 회사는 소득세법에서 규정한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에 근거하여 근로소득세(지방소득세 별도 징수)하여 다음달 10일까지 관할세무서, 지방치단체에 원천징수한 금액을 다음달 10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이 경우 회사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에 대하여 다음해 2월분 급여를 지급시까지 근로자에 대한 근로소득 연말정산을 실시하여 기납부세액으로 차감공제 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하신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일반 급여 뿐만 아니라 기재하신 상여, 보너스 등도 세금이 부과되는 급여에 해당합니다. 일반 급여와 차이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