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자산관리

산은 산이고 물은셀프~!!
산은 산이고 물은셀프~!!

자본 잠식이라는 용어는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최근 지인이 다니는 회사에 경영이 너무 안 좋아서 부채가 많고 뉴스나 기사에서는 자본 잠식이라는 용어를 봤는데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45

자본 잠식이라는 용어는 무엇을 뜻하는 건가요? 최근 지인이 다니는 회사에 경영이 너무 안 좋아서 부채가 많고 뉴스나 기사에서는 자본 잠식이라는 용어를 봤는데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은 자본총계가 0보다 작거나 마이너스인 상태입니다. 쉽게 말해 자본잠식은 회사가 잃은 돈이 너무 많아 순자산이 마이너스인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가 손실이 계속되면 벌어놓은 돈을 전부 잃게되고 여기에 회사 자본금까지 전부 깎아먹을수 있습니다. 즉 자산보다 부채가 더 많은 상황이 자본잠식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누적된 손실이 자본금을 초과하여 자기자본이 마이너스가 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해당 기업은 도산이나 상장폐지 위험에 직면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자본잠식은

    순자산이 자본금 보다도 적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해당 기업의 재무적으로

    상당히 문제가 있다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누적된 결손금(적자)이 자본금 전체 또는 전체 자본을 초과한 상태를 말합니다. 자본잠식의 경우, 통상 폐업 직전인 상태로 볼 수 있으며, 부분 자본잠식->완전 자본잠식->완전 자본잠식+자산총계 마이너스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상장 기업의 경우에는 종국에는 상장폐지 절차를 밟아야할 수도 있는 중대한 상황입니다. 자본잠식의 여부는 재무제표상 자본총계를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 잠식은 한마디로 '회사가 가진 돈을 다 까먹었다'는 의미입니다. 회사의 '자본금'이 회사의 손실로 인해 줄어들거나 아예 바닥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본 잠식이 발생하는 이유는 회사가 계속해서 영업 손실을 기록하면, 그 손실을 메우기 위해 회사가 그동안 벌어 놓은 돈을 사용하게 됩니다. 초기 단계에는 적자가 나면 먼저 이익잉여금이 줄어듭니다. 심화 단계에서는 만약 이익잉여금을 모두 소진했는데도 계속 적자가 나면, 이제 자본금을 깎아 먹기 시작합니다. 이때부터를 '자본 잠식'이라고 부릅니다. 자본 잠식은 회사의 재무 구조가 매우 취약하다는 강력한 경고 신호입니다.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지거나, 기존 대출 상환 압박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도 이런 회사에는 투자를 꺼립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라는 말은 회사가 이익을 내지 못하고 적자가 누적이 되면 발생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회사는 물건을 제조하거나 아니면 아니면 상품을 매입하거나 아니면 인건비를 통한 용역서비스로 매출이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이런형태로 벌어들이는 이익과 비용을 빼서 최총적으로 현금이라는 남게 되고 이를 회사의 잉여금형태로 자산에 쌓이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회사가 적자 발생한다는것은 말그대로 결국은 이 비지니스가 현금이 소진된다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쌓이게 되는 매년 적자는 자본의 결손금 항목으로 (-)로 깍이게 됩니다. 즉 이익잉여금으로 자본+가 아닌 자본-가 되고 여기서 그동안 벌어들인 누적이익잉여금이 적자누적으로 (-)로 전환되는 순간을 부분자본잠식이라고 하며 이후 초기 주주들이 납입한 자본금까지 소진이 되면 완전자본잠식이라고 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 잠식이라는 용어의 경우 회사의 자본이 적자가 계속되어 손실이 증가하여 결국에는 이러한 것들이 빚이 증가하여 회사의 자본이 사라지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자본의 경우 자산과 부채의 차이를 계산하여 나타낸 것으로 완전 자본잠식이 되면 자본금을 넘어선 손실로 인해 자본의 총계가 0이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자본잠식이 해소되지 않으면 투자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게 되며, 기업이 파산하거나 인수가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본 잠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본 잠식이란 결국 회사가 운영을 하다가 수익이 아닌 손실이 발생하고

    계속 손실이 발생하면 회사의 자본금까지 까먹게 되는 경우가

    자본 잠식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자본잠식이라는게 회사를 설립할때 설립한 사람들이 돈을 내고 설립을 한다고 생각하면 그 설립자금을 자본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회사 사업이 안되서 회사 차릴때 낸 돈을 사업하다가 전부 다 날려먹고 적자로 돌아서면 자본금을 다 까먹었으니 자본잠식이 된다고 하죠 !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은 기업이 영업 활동으로 발생하는 누적 적자때문에 초기 투자된 자본금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말합니다.

    벌어들이는 이익보다 적자가 더 커서 자본금이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 잠식이란 기업의 누적 적자가 커져 이익잉여금이 모두 소진되고, 결국 투자원금인 자본금까지 까먹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회사의 순자산(총자산-총부채)이 자본금보다 적어져 주주가 투자한 돈조차 돌려줄 수 없는 재무적 위기 상황을 뜻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연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기업은 자본을 가지고 있고, 부채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여기서 자본과 부채를 다 합친 금액을 기업의 자산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기업이 사업을 하면서 손실이 누적되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런 상황에서. 부채는 사실상 내 자본이 아니니까. 순수 자본만 따졌을때,

    손실액이 자본을 잠식해버린는 상황. (손해가. 내돈보다 커진상황) 이 되면. 기업의 가치가 0보다 낮다고 생각할 수 있잖아요. 지금 당장은요.

    이러한 상황이 자본잠식 상황이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쉽게말해서 적자 때문에 기업이 원래 갖고 있던 자기자본이 줄어드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태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