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후보가 주장하는 호텔 경제학은 어떠한 원리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지금 대선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대통령 후보 이재명 님께서 주장하는 호텔 경제학 원리는 어떤 것인지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재명 후보가 주장한 호텔 경제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쉽게 보면 승수효과입니다.
이를 제 버전으로 소개해드리면 이렇습니다.
A라는 사람이 100원이 생겨서 이를 B라는 은행에 입금합니다.
그렇다면 실제 돈은 100원이지만 장부상으로는 A도 B도 100원씩 생겨서 도합 200원이 됩니다.
그런데 B 은행이 C라는 사업가에게 대출로 100원을 해줍니다.
그러면 역시 돈은 A가 맡긴 100원이 전부이지만 장부상으로는 A도, B도, C도 각기 100원씩 있어서 도합 300원이 됩니다.
이런게 승수효과이고 호텔 경제학의 다른 버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후보가 언급한 호텔 경제학은 특정 경제 이론이라기보다는 돈의 순환과 승수 효과의 중요성을 비유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사례에 가깝습니다.
돈은 돌지 않으면 돈이 아니다, 돈이 돌아야 경제가 활성되단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돈이 소수의 손에 묶여 있지 않고 시장에 풀려 소비되고 투자되어야 경제 전체가 살아난다는 유효수요 창출론이나 케인즈 경제학의 승수효과와 유사한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재정을 투압하거나 국민에게 돈을 지급하면 그것이 소비로 이어지고, 그 소비가 다시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어 연쇄적으로 경제활동을 늘린다는 것입니다.
이재명 후보의 호텔 경제학은 복잡한 경제 원리를 대중에게 쉽게 설명하기위한 과감한 비유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돈의 순환과 유효수요의 중요성을 강조하려 한 의도이겠습니다. 정식 경제 이론이라기보다는 이 후보가 추구하는 성장과 분배의 동시 추구, 그리고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후보가 주장하는 호텔 경제학 이란 정부 지출과 지역화폐를 통해 경제를 활성화하자는
주장을 설명하기 위한 비유 입니다.
이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승수효과를 쉽게 설명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호텔경제학이란 쉽게 한정된 돈이 순환함으로써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호텔 경제학은 경제학 개념에서는 이루어 질 수 없는 구조 입니다. 최초 호텔 예약을 하면서 결제한 사람이 취소를 했을 때 호텔 주인은 손실을 보게 되는 구조이며, 호텔 주인이 소비를 하면서 소비가 증가한 부분은 호텔 주인의 손실이 생겼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 시장에 추가로 들어온 돈은 없지만 경제 주체의 향후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소비를 하게 되면서 실제로 경제가 좋아진다는 이론입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와 같이 지갑을 꼭 닫고 있는 상황에서 앞으로 경제가 좋아지고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면 내수 소비가 늘어나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가 성장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호텔경제학은 극단적이고 단순한 이론일수 있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호텔 예약금으로 호텔주인이 어디서 소비하면 그 돈을 번 사람이 또 다른데서 소비하고, 또 소비하고,, 경제순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것인데요. 결국 이 호텔 예약금을 취소하더라도 이미 경제는 순환해서 경제가 살아난다고 주장하는데요.
이는 현실에서 실현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한계가 있어 단지 소비로 인한 경제 순환 논리를 단순하게 표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재명 후보의 호텔경제학은 한 여행객이 호텔에 10만 원의 예약금을 내면 호텔 주인은 이 돈으로 가구점 외상값을 갚고, 가구점 주인은 치킨집에서 치킨을 사 먹으면 다시 치킨집 주인은 문방구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문방구 주인은 호텔에 빚을 갚는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