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의 감정을 잘 조절하라는 조언은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아이들은 아무래도 감정조절이 안되기 때문에 이야기 하는것이 어려운데요
그런것을 이야기 할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것인지 궁금 합니다.
아이들의 감정을 잘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자기 조절능력은 필요한 덕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감정을 조절하고 제어하는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들은 부모님이 알려주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에게 이렇게 전달을 해주세요.
마음 속에소 화가 나고 , 짜증이 나고, 울 것 같은 감정이 울컥 올라온다면
그때는 긴 호흡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기를 반복 하면서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히고, 머릿속을 생각을 정리한 후
마음이 진정되면 그때 언어로 조곤조곤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해야 함을 아이에게 인지시켜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자기 자신에 대한 감정조절이 서투르기 때문에 이러한 감정조절도 학습하며 훈련하는 것이 중요할듯 합니다. 아이의 성격과 성향에 때라 감정조절이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호흡법, 명상, 음악감상, 독서 등을 통해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히고 상대방을 배려하고 공감하며 논리있게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감정조절을 도와주는 조언은 단순한 말보다는 공감과 모델링이 핵심입니다. 조언보다는 방향을 제시해 주는 좋고 감정을 먼저 인정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 감정 조절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에는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하되, 구체적으로 방법을 알려주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참을 수 없을 만큼 화가 나거나, 속상하거나 등의 감정이 느껴질 때 잠시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거나, 눈을 감고 10까지 세어본다거나 이런 방법으로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 주세요. 평소에 명상이나 스트레칭 등으로 이러한 참는 방법의 체력을 기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