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무뚝뚝고양이215
무뚝뚝고양이215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온 나라들과 그 이유가 궁금해요.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온, 혹은 왔던 나라 들 목록과

그 시기, 그리고 그 이유가 궁금해요

혹시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이겨낸 나라도 있을까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하이퍼인플레이션의 대표적인 사례로 독일이 있는데 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패전국인 독일이

        승전국에게 경제적인 보상을 하다가 무리하여 화폐를 발행하는 바람에 독일 화폐가치가 바닥을 쳤습니다.

      • 당시에 휴지대신 화폐를 사용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였습니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였고 그 뒤로는 당시에 부작용을 알았기에 무리한 화폐발행이라는

        부작용 대신 동독 서독으로 갈려 경제 침체를 한동안 겪었습니다.

      • 현재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는 나라로는 베네수엘라가 있는데 해당 국가는 화폐가 있지만 자국의 화폐대신

        미국 달러로 경제활동을 이어 나가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이 증가하면 물가상승률도 증가하는데 이것에 비해 보다 더 과도하게 통화량증가율이 높아지게 되면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실에서는 원래 보통의 국가면 법률로써 정부가 중앙은행에 개입할 수 없도록 해두는데, 정부가 중앙은행에 개입하여 화폐를 발권하여 사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등의 부정부패로 일어나게 됩니다.

      사적인 목적이 아니더라도 정부의 재정적자와 부채가 심해서 재원조달을 화폐발행을 통해 할 경우 일어나게 되죠.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오는 보통의 이유는

      너무 많은 화폐를 찍어내는 등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과거 독일에서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있었으나 화폐가치를

      다시 안정시키는 등 이에 따라서 이를 극복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은 나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까지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볼리비아, 칠레, 베네수엘라, 그리고 콜롬비아등의 나라들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겪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정부에서 화폐를 지나치게 많이 찍어냄에 따라 돈의 가치가 매우 떨어지는 한편 물건 가격이 오르는 현상입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법정화폐를 달러로 변환하고, 재정지출을 줄여 건전한 재무상황을 만들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던 국가는 독일로서 독일의 경우에는 전쟁의 패전으로 인해서 막대한 부채가 생기게 되자 이를 갚기 위해서 독일 마르크를 많이 발행하였고 화폐 유통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면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은 극도로 높은 인플레이션률을 가리키며, 주로 통화 가치의 급격한 하락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하이퍼인플레이션 사례로는 1920년대의 독일, 2000년대의 짐바브웨, 2010년대의 베네수엘라 등이 있습니다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극복한 나라로는 터키, 아르헨티나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통화정책 개혁과 경제구조 개선을 통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극복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인플레이션을 의미하는 하이퍼인플레이션(hyperinflation)은 1920년대 독일의 전신인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세계 1차 대전의 막대한 전비 마련을 위해 화폐를 마구 찍어내면서 발생했습니다. 빵 한 덩이를 사기 위해서 지폐를 수레에 담아 가지고 와야할 정도로 화폐 가치가 폭락한 사례이며 최근에는 베네수엘라, 짐바브웨 등에서 발생했습니다. 짐바브웨의 사례가 극적인데 100조 짐바브웨 달러로 계란 한 판도 사지 못할 정도의 극도로 높은 물가 상승이 나타난 바가 있습니다.


    • 하이퍼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매우 빠르게 상승하여 통화의 가치가 급격히 하락하는 현상을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가치가 떨어지는 통화를 빠르게 소비하거나 다른 안정적인 자산으로 옮기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

      1. 독일 (1920년대 후반):

        • 시기: 1921년부터 1923년까지

        • 이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한 전쟁 후 지불할 산업 손실과 전투에 따른 파산 보상금 결정으로 인해 적폐 통화를 무한정으로 인쇄하여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되었습니다.

      2. 짐바브웨 (2000년대):

        • 시기: 2000년부터 2009년까지

        • 이유: 지배자인 로버트 무가베 대통령의 농지 개혁 정책과 정치적인 불안으로 인해 생산력이 감소하고 식량 부족이 발생하여 통화를 인쇄하면서 인플레이션이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3. 아르헨티나 (1980년대 후반):

        • 시기: 1989년부터 1990년까지

        • 이유: 재정적인 부실과 고율의 공무원 급여 인상으로 인해 경제가 흔들려 인플레이션이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