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미국 무역 협상 재개 전망, 관세 갈등 해소될 수 있을까요
미 상무장관이 인도가 두 달 내 미국과 무역 합의를 시도할 것이라 내다봤는데요 현재 진행 중인 관세 갈등이 실제 협상으로 풀린다면 한국 기업에도 기회가 열릴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인도와 미국이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는다면 철강, 알루미늄, 농산물 등에서 얽혀 있던 관세 갈등이 조금은 풀릴 여지가 있습니다. 두 나라가 합의를 본다면 교역 안정성이 커지면서 인도 시장을 노리는 한국 기업에도 우회 수출이나 현지 진출 기회가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정치 일정과 양국 이해관계가 복잡해 협상이 단순하지 않을 수 있어 상황 변화를 민감하게 살피는 게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인도와 미국 사이에 얽혀 있는 관세 문제는 단순히 양국 교역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전체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최근 미국이 인도의 특정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인도가 맞대응하면서 교착이 길어졌는데 협상이 재개되면 우선 보복성 조치가 완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게 되면 원자재 조달이나 중간재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기업들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이 줄고 대체 시장 확보에도 숨통이 트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협상이 지연되면 불확실성이 길어져서 기업들이 가격 책정이나 투자 계획에 차질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결국 이번 논의가 어느 쪽으로 기울지에 따라 우리나라 수출업체가 활용할 수 있는 틈새가 생기느냐 아니면 위험 관리가 더 커지느냐가 갈릴 수 있다고 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일단 한국의 경우 관세협상이 끝난 상황이기에 이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무엇인가가 생길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인도의 협상 내용에 따라서 한국이 협상을 잘 한것인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단을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특히 기존의 협상국들보다 나은 조건이라면 향후 트럼프는 다른 국가와 협상시 쉽지않게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