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하고 수유한 기간이 많으면 많을수록 폐경 나이가 늦어질 수 있나요?
결혼하고 나서 아이를 한 명도 출산하지 않은 사람은 폐경이 빨리 오고 아이가 2명 이상인 사람은 생리를 오래 하던데 게다가 모유수유까지 한 사람은 더 생리기간이 길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출산이나 수유가 폐경 시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하시곤 합니다. 실제로 출산과 모유 수유는 폐경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출산과 모유 수유가 많아질수록, 여성의 몸은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에 장기간 노출되지 않게 됩니다. 임신 중에는 월경이 멈추고, 수유 기간에도 월경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불규칙해지기 때문입니다. 이런 상황은 생식기관에 작은 휴식을 제공하는데, 이는 장기적으로 볼 때 난소의 노화를 조금 늦출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번의 출산과 지속적인 모유 수유는 폐경을 조금 늦출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영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유전적 요인이나 생활 습관, 건강 상태와 같은 다른 요인들도 폐경 시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임신이나 출산 경험이 없는 경우라면, 생애 전체에 월경 주기가 꾸준히 지속되므로 난소 기능이 조금 더 일찍 감소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는 폐경이 약간 빨리 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역시 개인차가 크며, 모든 이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출산과 모유 수유의 경험이 폐경 시기를 늦출 수 있는 잠재적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것이 결정적인 요소는 아닙니다. 신체가 각각 다르게 반응하므로,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
모유수유 기간과는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체내에서 생산 가능한 난자의 수는 출생 당시에 정해져서 태어나게 됩니다. 난자의 경우 정자와 달리 감수분열을 통하여 새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1차 감수분열을 모두 완료하는 것이기 떄문입니다.
임신을 하는 경우, 임신 기간동안은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아 난자가 그 시기동안 보존이 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출산 경험이 없는 사람의 폐경이 통계적으로 빠른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