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생활주택(소형아파트)는 왜 안오르나요?
비슷한 위치, 같은 호재 등 이슈가 있는데 아파트나 빌라 연립등은 우상향 그래프를 그리는데, 도시형생활주택(소형아파트는) 우상향 그래프가 안나오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래 나홀로아파트 특성상 대지지분이 적어 구축 아파트 및 연립 빌라보다 시세 상승률이 아주 낮습니다.
반면 임대수익률은 훨씬 높은편이라 월세 수익형 부동산으로는 적합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현재 부동산 상황은 부동산가격이 하락국면에 있는 만큼 오를 가능성이 다소 희박하고 또한 도시형 생활주택은 통상 임대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만큼 상승폭이 별로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이라고 하는 것은 2009년부터 1~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주거 안정을 위하여 시행된 주거형태로, 1세대당 주거 전용면적 85m² 이하인 국민주택 규모의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되며, 단지형 연립주택, 다세대주택과 원룸형 주택3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경우에는 주택법에 적용을 받는 하나의 주택으로, 매수 ~ 매도하는 일련의 과정은 일반적인 주택과 동일하게 적용을 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을 1채 보유하게 되면 1주택자가 되고, 만약 1주택자가 조정지역의 도시형 생활주택을 추가로 매수(2주택자)할 경우에는 이에 따른 취득세 8%가 부과되게 됩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큰 단점으로는 주택 수에 포함도되고 주차공간이 매우 부족합니다(세대당 0.5 ~ 0.6대 정도) 또한, 규모가 작다보니 편의 및 커뮤니티 시설 부족하고 소음 및 일조권이 보장되지 않습ㅂ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과 입지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의 주택가격 상승은 아파트 가격이 먼저 상승된 후 대체제인 빌라나 그외 주택들이 순차적으로 오르게 됩니다. 이유는 주택의 수요도가 가장높은 게 아파트이기 때문입니다. 그외 건물 구조상 도시형 생활주택은 단지가 아닌 나홀로 형태가 많고 도심 번화가 중심으로 입지가 되어 인프라는 괜찮지만 조경,커뮤니티등 없고 주차공간이 협소하기에 가족단위 장기거주가 어려워 수요가 제한적이고 이에따라 시세차익도 적은 특징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