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노란누에137
노란누에13723.08.08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행성들의 거리는 어디까지 인가요?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행성들의 거리는 어디까지 인가요? 얼마나 멀리 있는 곳의 행성들까지 발견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외계 행성들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을 통해 탐색되고 있습니다: 트랜짓 메소드와 라디얼 속도 방법입니다. 이 두 방법을 통해 발견된 외계 행성들은 지구로부터 다양한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1. 트랜짓 메소드 (Transit Method): 트랜짓 메소드는 행성이 그 주위의 별 앞으로 지나가면서 빛을 가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지구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별계에서도 외계 행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트랜짓 메소드로 발견된 행성들은 주로 수백 광년에서 수천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2. 라디얼 속도 방법 (Radial Velocity Method): 라디얼 속도 방법은 행성과 별이 서로 중심을 기준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이용하여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별의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빛의 이동을 분석하여 행성의 존재를 확인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발견된 행성들도 수백 광년에서 수천 광년 거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은 지구로부터 약 4.2 광년 거리에 있는 프록시마 켄타우리 b입니다. 이 행성은 프록시마 센타우리라는 이름의 쌍성계의 끝에 위치한 행성으로, 가장 가까운 행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NASA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을 통해 발견된 행성들은 멀리 떨어진 수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전체적으로,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들은 수백 광년에서 수천 광년 거리에 분포해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더 멀리 있는 행성들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행성들의 거리는 매우 다양합니다. 행성들은 주로 우리 태양계 외의 다른 별들 주변에서 발견되며, 이러한 행성들은 '외계 행성' 또는 '외계 플라넷'으로 불립니다. 외계 행성은 여러 가지 발견 방법으로 감지되며, 특히 출현 트렌짓 방법과 속도 측정 방법을 사용하여 많은 외계 행성들이 발견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은 '프록시마 b(Proxima b)'로서, 지구로부터 약 4.24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이는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 행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변의 빛나는 빨간색 왕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 별 주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여러 차원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많은 외계 행성들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의 수는 수천 개 이상이며, 이러한 행성들은 태양계와는 다른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발견된 외계 행성들 중에서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와 조건을 가지는 '지구형 행성'도 발견되고 있으며, 이러한 행성들은 외계 생명체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주의 깊은 곳에서 더 많은 행성들이 발견될 수 있으며, 우주 탐사와 천문학 기술의 발전으로 미래에 더 많은 외계 행성들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발견들은 우주와 행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형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주신 부분은 행성이 아닌 항성과 은하 둘중 하나로 판단됩니다.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낼 수 없기에 멀리있는 행성을 관측하기란 매우 어렵습니다.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은하나 항성으로 설명드리자면


    2021년에 쏘아올린 제임스 웹이 발견한 '아기은하' 입니다.


    이는 130억 광년떨어져있는 은하로 관측 된 은하중 가장 멀리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