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에 값싼 중국산 무역 공세, 우리 제조업 영향은?
미국의 무역 장벽에 막힌 값싼 중국산 제품이 우리나라로 대거 들어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이런 무역 변화가 실제로 우리 제조업과 유통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무역 장벽으로 인해 중국산 제품이 우리나라로 유입될 경우, 단가 경쟁력이 높은 저가 제품이 국내 시장을 잠식하면서 중소 제조업체는 가격 압박과 수요 감소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유통업계는 단기적으로는 마진 확보에 유리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국내 생산 기반 약화와 품질 경쟁력 저하 우려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업종별 대응 전략과 정부의 통상 조치 검토가 함께 이뤄져야 할 시점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면서 미국 시장으로 가던 중국산 저가 제품들이 방향을 틀 가능성이 있다는 점은 무역 현장에서 점점 더 피부로 느껴지고 있습니다. 수출길이 막힌 중국 기업들이 대체 시장을 찾으려 할 텐데, 지리적 근접성과 수입 수요가 있는 우리나라가 그 타깃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생활용품, 의류, 중저가 전자부품처럼 가격 경쟁력이 절대적인 분야는 타격이 클 수 있다고 봅니다. 기존 국내 중소 제조업체들이 버텨내기 어려운 가격으로 유입된다면 도소매 유통시장까지도 중국산 비중이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업계에서는 벌써부터 중국산 물량이 전보다 빠른 속도로 풀리고 있다고 느낀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다만 이는 단기적인 위기로만 볼 일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품 차별화, 브랜드 강화, 고부가가치 생산 전환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이 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니까요. 정부 차원의 수입 모니터링이나 덤핑 조사 강화도 병행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실제 상황은 아직 지켜봐야겠지만, 미중 갈등의 틈에서 우리 제조업이 어떤 대응력을 보여주느냐가 앞으로 몇 년간 산업 구조를 크게 바꿔놓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중국의 대체 수출방안 등을 위해 우리나라로의 수입이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공급망의 변동상황을 유의해야할 상황이지만 우리나라은 오히려 이를 이용해 미국 외 다른국가로의 수출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등의 전략을 세울수도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