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8.05

아이를 훈육할때 때리면 안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화가나는 일이 많은데요

그때마다 말로 타이르는데 말을 잘 안들어요

그래서 어떨땐 손이 올라가기도 합니다

훈육 할때 때리는게 안좋다고 하던데 진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부모도 사람이다보니 체벌을 할 감정이 순간순간 올라올때가 있는데요. 체벌은 또 다른 체벌을 낳습니다. 훗날 아이에게 큰 상처로 남습니다. 안하시는게 답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를 하다보면 정말 때리고 싶을 만큼 화가 나는 순간이 있습니다만 신체적 체벌은 오히려 훈육 효과가 떨어집니다. 때리면 그때 뿐이고 아이가 왜 그러한 행동을 하면 안되는지 배울 수는 없습니다. 또 아이가 커가면서 부모님에 대한 분노와 화의 감정만 키우게 되지 십상입니다.

    따라서 화가 나시더라도 최대한 감정은 배제하시고 다만 단호하게 안되는 것은 안된다 알려주시고 또 안되는 이유를 눈높이에 맞게 간단히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한 번에 말을 듣지 않는다고 해서 아이가 일부러 그런다거나 무시한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여러 번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아들의 경우 청각적인 자극은 뇌에 잘 각인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벌형식으로 체벌을 위한 도구를 지정하는게 좋을것같으나 체벌은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훈육에 있어 체벌을 하는 경우 잘못된 행동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체벌에 대한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사과를 하는 것으로 이는 훈육의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또한 체벌의 경우 아동복지법상 허용되지 않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전문가들은 때리는것은 안됀다고해요.

    하지만 부모들은 매를 들어야 하는경우도 생기죠.

    저는 손으로 때리는것은 결사반대에요.

    그것은 부모 스스로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고 하는 행동이거든요.

    아이와 대화를 통해 정말 잘못했을때 쓸 수 있는 사랑의 매를 함께 준비하고 만들어 보세요.

    될 수 있으면 사용하면 안돼지만

    정말 꼭 훈육할때 필요할때가 있기도 하거든요.

    중요한것은 절대 부모의 화의 감정이 섞이면 안됀다는거 잊지마시구요.

    아이들은 소중한 보석입니다.

    정서적, 신체적 등이 바르게 자랄수 있도록 길라잡이가 되어주는것이 부모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리 화가 나고 또 화가 나더라도 아이는 때려서는 안됩니다.

    아이는 하나의 인격체 이기 때문에 아이의 생각을 존중 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아이를 키우면서 양육하다보면 화가나는 것이 부지기 부수 입니다.

    하지만 화를 낸다고 아이를 채찍질 한다고 해서 아이가 과연 말을 잘듣는 아이로 변화 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해 준다면 절대 아이에게 화 내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단호하게 하지 말라고, 부드럽게 그것은 좋은 행동이 아니라고 타일러준다면 아이는 부모의 말을 잘듣고 따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절대 때리시면 안되요

    아이에게 거부감과 두려움만 생기게 하고

    훈육의 효과가 떨어지기도 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때리는 등으로 훈육한다면

    아이의 정서와 발달 등에 상당히 좋지 않고

    공포감만 줄 수 있기에 삼가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체벌을 해서는 안됩니다.

    아이들에게 훈육을 한다고 체벌을 하게 되면

    아이가 폭력적인 성향이 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잘못을 전혀 모르게 됩니다.

    아이의 잘못이 반복될수록 체벌의 강도는 계속 강해질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때리게 되면 아이는 문제 행동에 대해서 수정되기보다는그것을 감추거나 혹은 맞는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하지 않을수있어

    당장은 해결이 된다고 볼수있으나 잠재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하지는 못하니

    아이를 위해서는 때리는것은 좋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때리는것의위험성

    1.아이가공포심느낌

    2.잘못된행동을숨길가능성이커짐

    참고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말을 안 듣는다고 체벌을 하게 되면 아이는 반성을 하기 보다는 체벌에 대한 느낌만 남을 것입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단호하고 강한 어조로 훈육을 하고, 훈육이 끝나면 여전히 아이를 사랑하고 있다라는 마음이 들 수 있도록 하셔야 합니다

    항상 사랑이 베어 있는 훈육을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