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신분제도는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의 작용으로 정착이 되었습니다. 여말선초의 사회적 변화와 성리학적 신분관념이 주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양반 중심적이었던 조선의 신분 제도
조선 초기에 과거에 응시할 수 있고 조세와 국역을 담당하는 자유민인 양인과 천역을 담당하는 천민으로 구분되는 양천 제도가 법제화되었습니다. 하지만 관료인 문반과 무반을 함께 부르던 용어인 양반이 일종의 신분 명칭으로 정착되면서 양반 관료를 보좌하던 중인도 신분층으로 정착되어 지배층인 양반과 피지배층인 상민 간의 차별을 두는 반상 제도가 일반화되고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신분 제도가 정착되었습니다.
양반이 신분 명칭이 되고 양반 관료 체제가 정비되면서 관료의 가족이나 가문까지도 양반으로 대우받게 되었습니다. 양반은 경제적으로 지주층이며, 정치적으로는 관료층으로 생산에 종사하지 않고 유학자로서의 소양을 닦는 데 집중하였습니다. 양반은 관료가 되어 국가로부터 받는 과전과 녹봉, 자기 소유의 토지와 노비 등을 기반으로 생활하였습니다. 양반은 자신의 토지를 노비에게 경작시켰으며, 규모가 커서 직접 경작하지 못하는 토지는 이웃 농민에게 병작반수로 소작을 주었습니다. 양반들은 이러한 경제 기반을 바탕으로 풍요롭게 살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