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비과세 적용 가능 유무 및 기존 보험과 별개 적용 가능 유무
현재 상황은 사망보장 종신상품인데 각각 월납 150, 50만원씩 2가지 상품 납입중입니다.
혹시모를 사망대비와 환급률이 높아서 가입을 했는데 이런 경우 5년 납이상, 10년 이상 유지시 전액 비과세 받을 수 있나요??
추가로 저축성으로 변액보험을 가입하려하는데 저축성은 월납 150만원 이하, 5년이상 납입,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 조건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 변액보험은 추가납입을 통해서 수익 극대화를 하는데
이러한 경우 만약 월납 100만원, 납입 기간 10년 이상으로 진행시 추가 납입금에 대한 비과세 조건은 납입 시점부터 10년이상 유지인가요?? ★ 저축성 보험 비과세 조건 궁금합니다!
기존에 납입 중인 보험이랑 별개로 추가로 가입시에도 비과세 요건 충족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세법들이 말이 많아서 정확하지 않은건 알지만 그래도 지금 기준에서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범석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 상품 비과세 기준에 대해 질문 남겨주셨네요!
우선 먼저 준비하신 종신보험은 보장성 보험이기 때문에 금액 상관없이 보험 차익에 대해
5년 이상 납입, 10년 이상 유지하시면 보험 차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축성 보험의 비과세 요건은 5년이상 납입, 10년 이상 유지, 매월 균등보험료 납입, 계약자 피보험자 동일 이면 비과세 요건에 해당 됩니다. 질문 주신대로 150만원씩 납입하시면서 추가납입으로 100만원씩 더 하신다면 이는 과세 대상입니다. 더불어서 가입하시기 전에 그 전에 저축성 보험으로 준비하신 내용이 있는지도 체크 하셔서 내 10년 내 저축성보험 비과세 한도 150만원이 넘지 않는지도 체크 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일시납은 1억까지 비과세 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영근 보험전문가입니다.
사망보장 중심의 종신보험은 원칙적으로 보장성 상품이라, 환급형이라도 비과세 요건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저축성·변액보험은 월 납입 150만 원 이하, 5년 이상 납입, 10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납입금도 동일하게 10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가 적용되며, 기존 보험과 별개로 가입하더라도 각 계약별로 비과세 요건을 따로 판단합니다.
단, 세법 개정 여부나 보험 유형(보장성·저축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가입 전 약관과 세제 규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납입액 200만원은 비과세 한도가 월 납입액 150만원 이하이기 때문에 초과분인 50만원에 대해서는 과세대상이 됩니다.
저축성 변액보험은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이자소득세인 15.4%가 면제됩니다. 비과세 요건을 보면 월납입액 150만원 이하이고 납입기간 5년 이상 유지기간 10년 이상 가입일 2017년 4월 1일 이후입니다. 추가납입금에 대해서도 납입 시점부터 10년 이상 유지시 비과세 적용이 가능합니다. 추가 납입금 역시 150만원 한도에서 비과세입니다.
보험료 비과세 여부는 개별판단이고요. 기존 보험과 별개로 새로 가입한 저축성보험이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면 해당 계약에 대해 비과세 적용이 가능하고요. 단 모든 금융기관의 저축성보험 합산 기준이므로 월 150만원 한도는 전체 보험 합산 기준인데요. 여러 보험을 동시에 유지할 경우 합산 납입액이 기준을 초과하면 과세 대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워납 보험료 총액 150만원 이하 5년 이상 납입 10 년이상 유지시 저축성보험 차익 비과세가 가능하며 추가 납입의 경우에도 비과세 조건에 포함되며 추가 납부 시점으로부터 10년이상 유지하셔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존 보험과 추가 가입 보험의 월납 보험료 합산 150만원 한도 내에서 비과세가 적용이 되며 단기납 순수 보장성 종신보험은 비과세 한도 없이 적용이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