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너무 수줍음을 타고 내성적일떄 어떻게 하죠?
아이 성향이 수줍음을 많이 타고 내성적입니다. 이 험한 세상 이러한 성격으로 어떻게 살아갈지 걱정인데요~부모로써 어떻게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작은 모임에서부터 천천히 사회적 경험을 쌓게 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조금씩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때마다 칭찬하고 자신감을 키워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격에 따라서 수줍음을 많이 타기도 하고 마냥 활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줍음을 만힝 타는 경우인데 이때에는 아이들을 활발한 장소에 많이 노출을 시켜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해주시면 아이들은 활발하게 뛰어 논다고 합니다. 그렇게 되면 자기도 모르게 성격이 바뀌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한 활발한 친구들과 많이 어울리게 해주면 이게 섞이면서 조금은 더 활발한 아이로 자란다고 하니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내성적인 성격이라서 세상을 살아 가기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내성적인 성격은 꼼꼼하고 신중하다는
장점도 많이 있습니다
활동적인 사람은 사람을 만나는데 있어 쉽게 만나지만 내성적인 사람들은 한 동안 사람을 본 후 친해지는 것도
있어 실수 하는 확률이 적습니다
대인 관계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나와 성격이 잘 맞고 나를 잘 이해 해주는 사람이 있는 것이 중요 합니다
내성적인 성격과 잘 맞는 사람도 있습니다 아이가 친구 관계가 많지 않고 활동적이지 못한다고
걱정하는 눈빛 보다는 좋은 친구를 만날수 있다고 긍정적인 눈빛을 보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이 아이에게 불안한 눈빛을 보내게 되면 아이도 부정적인 시선으로 사람들을 볼수 있으니
아이가 가지고 태어난 성격을 이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기질적인 부분은 잘 변하지 않습니다.
아이의 성향은 어느 정도는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잘하는 활동을 많이 시켜줘서 자신감을 높여 주세요.
꾸준히 운동을 시켜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금 모습처럼 아이가 부끄러움을 타거나 그 순간의 민망한 감정들을 극복해내는데 시간이 많이 필요한 아이들은 자신감이 없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럴 경우, 아이에게 필요한것은 스스로가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주셔야 하는데요. 아이가 어떠한 일을 하였을 때 약간의 성공을 하게되더라도 잘했다고 칭찬과 격려를 해주셔야 합니다. 이러한 작은 성공에 경험들을 통해 아이는 자신감을 찾게 되고 겁나는 상황들을 넘어서게 될겁니다. 더불어, 아이를 틈틈히 신체활동이나 또는 운동을 시켜주셔도 효과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수줍음을 많이 타는 아이들은 종종 조용하고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처음 만나는 사람들과 쉽게 친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성격도 장점이 있고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으므로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작은 일이라도 성공하면 축하해주고 자랑스러워하도록 유도해주세요.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교류하는 기회를 만들어주세요. 학교나 교회, 스포츠 클럽 등에서 단체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타인과 어울리게끔 유도해보세요.일반적으로 자기표현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기표현 훈련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법을 가르쳐주세요.
수줍음을 타는 아이들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당황하거나 불안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처방법을 교육해주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예를 들어 발표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미리 대본을 작성하고 연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어려움을 겪을 때에는 지지와 지원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러나 지나치게 간섭하거나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신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것이 좋습니다.아이가 편안하게 느낄 수 있는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해주세요.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거나 취미생활을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마지막으로, 아이의 성격은 변할 수 있지만 그 변화 속도는 느릴 수 있습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노력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의 성격은 자라나면서 달라질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성향을 극적으로 변화하게 바꾸는 것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많은 경험과 연습을 통해 많은 부분까지는 변화가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아이가 스트레스가 되지 않는 선에서 다양한 친구들과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는 경험을 시켜주는 것들이 큰도움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신체활동을 특히 팀스포츠를 많이 해볼 기회를 주는 것이 효과가 좋은 것 같다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