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1.24

거창양민학살 사건은 왜 일어난 것인가요?

6.25 전쟁 중에 한국 국군이 거창에서 양민 학살을 자행했다는 글을 얼핏 읽은 적이 있습니다.

왜 국군이 학살을 자행한 것인가요?

그리고 사후 관련자들은 처벌을 받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거창 민간인 학살 사건(居昌良民虐殺事件)은 1951년 2월에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에서 대한민국군에 의해 일어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이다.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은 공비 소탕 명목으로 500여명을 박산(朴山)에서 총살하였다. 그 후 국회조사단이 파견되었으나, 경남지구 계엄민사부장 김종원(金宗元) 대령은 국군 1개 소대로 하여금 공비를 가장, 위협 총격을 가함으로써 사건을 은폐하려 하였다. 국회 조사 결과 사건의 전모가 밝혀져 내무·법무·국방의 3부 장관이 사임하였으며, 김종원·오익경·한동석·이종배 등 사건 주모자들이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얼마되지 않아 모두 특사로 석방되었다.


    --자료출처: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1년 육군 제11사단 9연대가 '견벽청야(말썽의 소지가 있는 곳은 초토화시킨다) 작전'을 시행하면서 공비와 내통했다는 이유로 경남 거창군 신원면 지역 양민 700여 명을 모아 마을 뒤 산골짜기에서 집단 학살한 사건을 말한다.

    이후 이 사건이 국회에서 거론되자 이승만 정권은 1951년 파견된 국회조사단을 거창군 신원면 입구에서 당시 계엄 민사부장이던 김종원을 시켜 기총소사를 퍼부으면서 조사 자체를 무산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여론이 들끓자 해당 사건 관계자 3명에 사형을 선고하며 마무리하려 했으나, 사형선고를 받은 이들은 몇 개월 후 모두 사면받고 복권됐다. 이에 유족들은 사건의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나섰고, 마을 주민들이 나서 유골을 모아 위령비를 세우고 이들의 유해를 안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 사건의 언급을 금지한 것은 물론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을 탄압했으며, 이들의 묘지도 개장령을 통해 다시 파헤쳤다. 여기에 이후 박정희 군사정부는 거창양민학살사건의 유족들과 유족회 간부 18명을 반국가단체 조직 혐의로 구속하기도 하였다. 이유족들은 1988년이 되어서야 희생자 위령 궐기대회를 갖고 위령비를 다시 세울 수 있었고, 국회는 1996년 이 사건의 사망자와 유족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조치법을 통과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거창양민학살사건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