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에서 상징주의가 추상적 이미지와 감각적 언어를 통해 독자에게 다가간 방식
안녕하세요. 상징주의 문학은 언어로 감각을 표현했습니다. 문학에서 상징주의가 추상적 이미지와 감각적 언어를 통해 독자에게 다가간 방식은 무엇이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문학적 상징주의는 언어를 감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징, 은유, 이미지 등 비유적인 표현을 통해 독자에게 감정과 사유를 유도합니다. 그러한 추상적 이미지와 감각적인 언어는 내면의 감정과 의미를 전달하고, 단순한 줄거리의 전달을 초월하여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과 성찰을 이끌어냅니다. 그리고 감정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경험을 확장하고 작품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면, 최근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의 <채식주의자>를 살펴보면,
주인공의 극단적인 선택과 강, 도시라는 상징적인 공간 속에서 사회적 규범, 환경 문제, 인간 본성 등의 본질적인 문제를 독자에게 각인시킵니다. 이로 인해 독자들은 작품 속에서 제시하는 메세지를 인식하고 그것이 현실 사회에서 어떠한 문제가 있는 것인지 그것을 고쳐나가야 하는 것인지 감내하면서 보완하며 살아가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게 확장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상징주의 작가들은 사물이나 경험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보다는, 은유/상징/암시 등을 통해 그들의 경험이나 생각을 드러냅니다. 즉, 그들에게 언어는 직접 대상을 설명하는 도구가 아니라 그 대상의 분위기나 감정, 관념 등을 환기하는 매개체로 사용된다 하겠습니다. 가령, 꽃을 묘사함에 있어, 직접적으로 '꽃'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대신, 작가 스스로가 고안한 상징을 부여하여 나타내는 방식 등이 있겠습니다.
또한, 상징주의 작가들은 다양한 이미지와 감각을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논리적으로 감정이나 감각들을 결합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감각들을 자유롭게 뒤섞어 즉각적이고, 직관적으로 독자들을 반응하게하는 것을 유도하였습니다. 이는, 독자들이 논리적 흐름으로 작품을 따라가는 대신, 작품 전반의 정서와 분위기, 미묘한 암시들을 따라가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상징주의는 언어의 추상적 사용(대상을 드러내는 간접적 매개물)과 이미지와 감각의 자유로운 결합으로 작가의 생각과 관념을 나타낸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상징주의 추상적 이미지 감각적 언어...이 세가지 키워드의 공통점은 문학의 기능 중 비유라는 기법에 있어 은유에 속하는 Metaphor라는 것입니다.
즉 문학이란 작가가 직접 A는 B다라고 독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그가 묘사하는 작품의 서정과 서사 속에 숨겨놓은 상징과 은유의 은밀한 언어로 독자에게 한층 더 고차원의 메세지를 전달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