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와 고양이 쥐들이 왜 도시에 더 빠르게 적응하는건가요
비둘기와 고양이 쥐들을 보면 시골이나 산골에선 보기가 힘든 동물입니다 그런데 반대로 도시라는 환경서식지에서는 비둘기와 고양이 쥐들이 빠르게 적응하고 퍼져나가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처럼 도시 생태계에서 비둘기, 고양이, 쥐가 빠르게 적응하고 확산되는 현상의 주돠 요인우 먹이 자원의 풍부함 때문인데요, 도시는 사람의 생활로 인해 항상 음식물 쓰레기, 곡물, 가공식품 잔여물 등이 흩어져 있습니다. 자연 서식지보다 계절과 기후에 덜 의존적이기 때문에 비둘기와 쥐는 꾸준히 먹이를 얻을 수 있고, 고양이 역시 쥐와 새를 사냥하거나 사람에게서 먹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연에서는 맹금류, 여우, 족제비 같은 천적이 비둘기나 쥐의 개체 수를 조절합니다. 그러나 도시는 구조물과 사람의 활동 때문에 이런 천적이 거의 없고, 그 결과 개체 수가 급격히 늘어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쥐는 번식 속도가 매우 빠르고 한 번에 여러 마리를 낳으며, 비둘기는 둥지를 건물 틈, 교각, 간판 등 어디에나 쉽게 짓고 연중 여러 차례 번식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고양이는 반려동물로부터 유래한 개체들이 유기되거나 길러지며, 도시에 정착해 자유롭게 번식합니다. 마지막으로 도시는 건물, 하수도, 지하철, 다리, 공원 등 다양한 인공 구조물을 제공하는데요, 이는 자연의 바위 절벽, 동굴, 나무 구멍을 대체하여 은신처·번식지·이동 통로 역할을 하며 쥐는 하수도와 건물 틈새를 잘 이용하고, 비둘기는 고층 건물을 절벽처럼 활용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농촌에서는 오히려이들을 위협하는 포식자들이 더 많이존재하고, 농약이나 트랩과같은 생존을 위협하는 장치들이 더 많이존재합니다.
도시에는 상대적으로 이러한영향이 적어 빠르게적응이 가능했던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도시는 상대적으로 먹을것이 더풍부하고 접근성이좋습니다. 또한 은신할장소도더 많기때문에 번식도자유롭죠. 특히 이들을 사냥하는 중대형동물들이 접근하기도 쉽지않아 더욱 번성할수있습니다.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는 풍부한 먹이는 물론 안전한 서식지가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버린 음식물 쓰레기나 찌꺼기, 사료 등 쉽고 안정적인 먹이가 1년 내내 풍부한데, 이는 불규칙한 자연 먹이보다 훨씬 유리한 부분이죠.
또한 사람이 만든 건축물이나 하수구, 교량 등의 인공 구조물은 천적이 적고, 비바람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 됩니다. 특히 비둘기에겐 건물의 처마나 난간이 원래 서식지인 절벽과 유사하죠.
게다가 시골이나 산골에 비해 포식자의 수가 현저히 적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도시는 이들이 살아남고 번식하기 위한 모든 조건을 갖춘 최적의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도시에는 여러 자원이 집약적으로 모여있습니다. 이것은 사람을 모여들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넘치는 음식등이 비둘기나 고양이 쥐들이 더 모여들게 할수 있습니다.
비둘기, 고양이, 쥐가 도시에 빠르게 적응하는 이유는 도시 환경이 그들의 생존에 유리한 조건들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도시는 천적이 적고, 사람들이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풍부한 먹이 자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건물 틈이나 지하 공간 등 비, 바람과 추위를 피할 수 있는 은신처가 많아 번식과 생존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반면, 시골이나 산골은 먹이 확보가 어렵고 천적의 위협이 더 많아 이들이 서식하기에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