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신고 자동화가 더 확대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수출입 신고서의 서류 자동화 범위를 더욱 더 확장시켜서 신고 절차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은 없을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수출 신고 자동화는 이미 조금씩 자리 잡고 있는데 더 넓어질 수 있냐는 질문에는 솔직히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요즘 세관 시스템도 예전보다 훨씬 유연해졌고 기업 쪽에서도 반복 입력 같은 건 진짜 부담스럽다고 하니까요. 다만 모든 걸 다 자동화하기엔 법적 요건이 아직 많고 사람이 최종 확인해야 하는 부분도 있어서 한계는 있습니다. 그래도 전자서류 표준화가 더 정착되고 시스템끼리 연동이 잘 되면 신고 과정에서 손으로 하는 일은 확실히 줄어들 겁니다. 자동화 범위가 넓어질수록 효율은 좋아지겠지만 완전히 사람이 손 떼는 건 좀 먼 얘기 같긴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수출 신고 자동화는 이미 전자통관시스템을 통해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품목분류나 원산지 판정처럼 전문성이 필요한 영역은 완전 자동화가 어렵습니다. 다만 인공지능을 활용한 HS코드 추천이나 반복 거래 자료 자동 입력 같은 기능은 점점 확대되고 있어 서류 작성 부담이 줄어드는 건 확실합니다. 정부도 무역 디지털 전환을 적극 추진 중이라 향후에는 신고 전 과정에서 사람이 개입하는 비중이 줄고 시스템 기반 자동화가 더 넓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수출신고서 등 통관절차는 이미 많은 부분에서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수출신고 자체에 대한 자동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근거가 되는 서류인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등의 전산화 및 이를 통한 데이터 입력의 자동화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근거서류의 정형화 기술적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사실상 관세청의 지원보다 각 기업에서 개발하여야되는 과제라고 판단됩니다. 이에 대하여는 AI 학습이 필요할 듯 한데, 기초적인 내용이 있다면 자동으로 AI가 수출신고 정보를 작성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학습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도 들기에 여력이 있는 기업들만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