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할때 항상 울면서 저한테 안기는데 받아줘야하나요
27개월아기 훈육할때 항상 울면서 저한테 안기려고 하면서 안아달라고 하는데 안아줘야할지 밀어내야할지 모르겠어요 밀어내면 더 흥분해서 안기려고 그러고 안아주면 진정은되는데 훈육이되는지 모르겠어요
27개월 된 아이를 어떻게 훈육해야 하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훈육을 할때 아이들은 심리적인 불안감으로 인해 우는 행동을 하며 안아달라고 합니다. 아이가 울면서 안아달라고 올때는 우선 아이의 마음이 진정되도록 안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마음이 안정이 되고 나면 아이를 앉혀놓고 혼내거나 큰소리 치기 보다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잘못된 부분에 대하여 하지말아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를 해주며 올바른 행동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어린 아이들은 훈육이라는 개념보다는 달래가면서 가르쳐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훈육을 할 때 울면서 부모님에게 안기더라도 우선은 훈육을 하고 있는 상태 이기 때문에 단호함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가 안기면 아이를 떨어 뜨려놓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세요. 지금은 엄마가 우리 00에게 이야기를 하고 있는 중이니깐, 지금은 우리 00를 안아줄 수 없어, 우리 00와 이야기가 끝나면 그때 우리 00를 안아줄거야 라고 이야기를 하고, 훈육을 마무리 지은 후에 아이를 꼭 안아주고 다시는 이러한 행동을 하지 않도록 조심하자 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며 아이의 등을 토닥이며 아이를 달래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27개월 아이에게 훈육이 아닌 혼을 내게 되면 무서운 마음이 들고 두렵기 까지 합니다
훈육은 부모님이 화가난 상태이거나 흥분한 상태에서 아이의 잘못을 지적 해주는 것이 아닙니다
평정심을 유지해서 아이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 주고 공감하며 이해해주는 단계에서 아이들 스스로 잘못을
인정하고 행동을 고치는 것을 훈육이라고 합니다
화를 내게 되면 아이들의 훈육은 전혀 되지 않고 무서움을 이기고 부모님의 분노를 없애기 위해 안아 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안정을 시켜주세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다음 훈육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사랑과 훈육이 양립할 수 있음을 인식 시켜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 중에 아이가 울면서 안기려고 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될 수 있지만, 이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안정감을 주면서도 일관된 훈육 방침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안아달라고 할 때, 밀어내는 것은 아이의 불안을 더 증폭시킬 수 있고, 부모와의 애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아이를 안아주면서도 훈육의 메시지를 일관되게 전달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 울면서도 부모에게 안기려는 것은 신뢰와 안전을 찾기 위한 자연스러운 반응이기 때문에, 먼저 아이를 진정시킨 후, 차분히 왜 훈육을 했는지 설명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훈육의 목표는 아이에게 행동의 결과를 이해시키는 것이지, 감정적으로 아이를 몰아붙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아이를 안아주면서 감정을 진정시키고 나서 차분하게 잘못된 행동에 대해 설명해주는 방식이 훈육과 안정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접근은 아이가 부모에게 느끼는 애착을 유지하면서도 올바른 행동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할 때 아이가 울면서 안기려고 하는 것은 정서적 안정감을 찾으려고 하는 행동입니다. 이럴 때 아이를 밀어내면 오히려 더 흥분하거나 불안해질 수 있으니, 먼저 아이를 앙아주고 감정을 진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의 핵심은 규칙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므로 잘못된 행동에 대한 설명과 경계를 분명히 한 후 아이를 위로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 후 아이가 울면서 안길 때 받아주는 것은 아이가 부모의 사랑과 안전감을 느끼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훈육 중에 왜 이러한 규칙이 필요한지 설명하세요. 아이가 왜 행동을 수정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고 명확하게 설명해주는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울면서 안기려고 할 때 먼저 안아주고 진정할 시간을 주세요. 신체적인 접촉은 안정감을 주고 아이가 가정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안전한 공간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