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엄마, 아빠 자신 외 다른 가족들은 가족이라고 생각안하는 이유가 뭘까요?
아이가 우리 가족이라는 애착형성이 자신 아빠, 엄마 이렇게 3명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 같아요. 어릴때부터 할머니, 할아버지, 이모, 외삼촌 등과 아주 가깝게 지내며 귀저기 가는것, 선물 사주는 것, 놀아주는 것등 지극정성으로 돌봐주셨는데, 그때에만 좋아하고 그 외에는 자신 집에도 오는걸 싫어하고 식당에도 꼭 부모와 자신만 가려고 해요. 왜 그런 것일까요?아이들이 가족의 기준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자신과 함께 사는 엄마 아빠이외의 다른 가족들은 진짜 가족이 아니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엄마나 아빠가 태어나게 된 과정 즉 '엄마 아빠에게도 너처럼 엄마 아빠가 있었어'을 이해시켜주는 것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아이에게 엄마 아빠 이외에 다른 가족들도 있다는 것을 이해시켜주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에게는 함께 먹고 자고 함께 생활하는 말 그대로 '식구'만이 자신의 가족이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어른들은 '가족'을 좀 더 포괄적으로 생각하지만 말입니다.
가계도를 이해할 나이가 되면 자연스럽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한집에서 먹고 자는 걸 식구라고 생각를 하는 경우 그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식구라는 개념을 유치원/어린이집에서 배우게 됩니다.
그때 가족은 아빠, 엄마, 나 이렇게 3명이 가족이라고 배우게 되면서
친척들은 가족의 범주에서 좀 멀어지게 되죠
나중에는 친가/외가의 개념도 배우게 되면서
외가쪽 가족들이 좀 섭섭해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가 몇살인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아이가 친척의 개념을 잘 모를 수 있습니다. 이는 아빠,엄마,나 이렇게 3명이서 한집에서 잠을 자고 살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천천히 아빠를 낳아준 사람이 할아버지라고 그리고 형제가 이모라는 등 지속적으로 설명을 해주면 아이도 이해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의 입장에서 보면 같이 사는사람들을 가족이라고 구분지을수있으며
사회적인 학습과정속에서도 기본적인 가족구조를 아빠엄마로 설명하기에 그렇게 나타날수도 있겠습니다.
아이의 기준은 한 집안에서 함께 사는 사람을 가족이라 생각하기 때문 입니다.
할아버지, 할머니, 이모, 외삼촌은 자기가 한 집에서 살지 않기 때문에 가족이라 생각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즉, 아는 사람 정도로 생각하기 때문에 가족에 포함시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눈높이 설명을 해주세요.
할아버지와 할머니 이모, 외삼촌은 엄마와 함께 살았던 가족 이었어, 그렇기 때문에 우리 00에게도 가족이나 마찬가지야 라고 알려주도록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