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사', '의사', '지사' 는 어떻게 정의가 되는 것인가요?
'열사', '의사', '지사' 는 어떻게 정의가 되는 것인가요?
예전에 어느 방송에서 보긴 하였는데 정확한 의미와 정의를 알고 싶습니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생각을 하더라도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개념은 알고 있어야 하지 않는 경각심도 들고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의사는 무력으로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을 말합니다.(칼, 총, 폭탄 등)
열사는 맨몸으로 저항하며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는 사람을 말합니다(시를 쓰거나 시위를 하거나 자결과 같은 죽음 등)
지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품은 사람을 말합니다 (의사와 열사 모두를 통틀어 부르는 지칭)
예를들면 유관순은 시위를 했기 때문에 열사이자 지사며 안중근은 무력으로 항거하였기에 의사이자 지사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독립 운동가들을 명칭하던 단어들이 여러가지 있지요. 말씀하신 열사,지사,의사,와 함께 투사도 있습니다. 어쩔땐 열사라 하고 어쩔땐 의사라는 존칭이 붙는데요. 이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익히 들어온 '유관순 열사'라고 하는 호칭인 열사는 독립운동을 위해 외세에 항거하며 끝까지 죽음을 불사하며 지조를 지킨 사람을 말합니다. 이때 무력적인 방법이 아닌 형식을 띈다고 보이네요.
다음으로 '안중근 의사'라고 불리는 호칭은 목숨을 바쳤다는 점에서 열사와 같은점이 있으나 의사의 경우는 비무력적인 방식이 아닌 독립운동을 위해 무력을 불사하고 자신의 목숨을 바쳐 나라를 위해 의롭게 죽어간 독립운동가를 칭합니다.
마지막으로 지사의 경우 위의 호칭을 어느정도 포함하는 개념이기도 한데 좀더 정확한 뜻은 독립운동을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것을 걸고 투쟁하고 뜻을 널리 알리기 위한 모든 활동을 하신 분을 말합니다. 해서 목숨을 바쳤든 죽진 않고 살아계시든 간에 독립운동을 위해 평생을 바치신 분들은 지사라고 불리웁니다.
열사는 나라를 위해 저항하다가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맨몸으로 싸우다가 돌아가신 분들,
강력한 항의의 뜻으로 자결을 선택한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유관순 열사, 이준 열사.
의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항거하다가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성패에 상관없이 무력을 통해 적에게 대항한 사람을 말합니다.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
열사와 의사는 순국한 뒤 붙일 수 있는 이름이라면
지사는 살아 있을 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의사: 목숨을 걸고 무력을 통해서 직접 행동한 사람(안중근, 윤봉길)
열사: 무력이 아닌 맨몸으로 싸우다 돌아가신분(유관순)
지사: 지식과 사상을 생산하고 관철, 전달하고 독려한 사람(단원 신채호)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열사- 맨 몸으로 저항하여 자신의 지조를 나타낸 사람
의사- 무력으로써 항거하여 의롭게 죽은 사람
지사- 의사와 열사가 순국 한 뒤 붙일수 있는 이름이지만 지사는 살아있을 때에도 쓸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독립운동을 했던 위대한 인물들 중에 의사라고 불리워지는 안중근 이봉창 윤봉길의사 등은 무쟁투쟁을 하다 순국하신 분들이시고 열사라 불리워지는 이준 유관순열사 등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독립운동을 하시다 순국하신 분들입니다. 지사는 김구 박은식지사 등은 평화적으로 독립운동을 하시고 일제에 의해 돌아가시지 않고 생존하셨던 인물을 일컫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의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해 항거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무력을 통해 적에게 대항한 사람을 가리킵니다 이안중근 의사, 윤봉길 의사, 이봉창 의사 등이 대표적 예입니다
‘열사’는 나라를 위해 저항하다 의롭게 죽은 사람으로, 주로 맨몸으로 싸우다 돌아가신 분들을 일컫습니다 또한 강력한 항의의 뜻으로 자결을 선택한 사람도 ‘열사’라 할 수 있습니다 유관순열사, 이준 열사, 민영환 열사 등도 여기에 속합니다
‘지사’는 ‘나라와 민족을 위하여 제 몸을 바쳐 일하려는 뜻을 가진 사람’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독립 운동 시기에는 중국의 관료 계급 제도와는 다른 방식으로 열사, 지사, 의사를 구분하였습니다.
열사는 대개 사상가나 독립운동가들을 가리켰습니다. 열사는 자신의 정신적인 믿음과 국민의 이익을 위해 헌신하며, 불의를 규탄하고, 국가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싸웠습니다.
지사는 지방의 행정을 책임지는 지방 관료였습니다. 독립운동 시기에는 지방에서 일어나는 민중운동을 조장하고, 지방의 독립운동을 주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의사는 독립운동 시기에는 의료인, 교육인, 언론인 등을 가리켰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국민의 인권과 자유, 국가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기여하였습니다. 이들은 대개 자신의 분야에서 교육과 정보를 제공하거나,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열사, 지사, 의사는 독립운동 시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들이 공헌한 업적은 우리나라의 독립과 발전에 큰 영향을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