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2.02.08

복숭아 알레르기 치료는 어떻게 해요?

나이
성별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명절에 복숭아 먹고 피부가 가렵고 두드러기 나서

고생하는 걸 보니 안타깝다라구요.

복숭아알레르기가 있는지 몰랐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대접했는데 본의 아니게 미안했던 기억입니다.

복숭아 털에서 일레르기를 일으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알러지라는게 세상 모든 물질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좀 흔하게 알러지가 있는 물질이 있고 드물게 알러지가 있는 물질이 있을 뿐입니다. 갑각류라던가 꽃가루라던가 집먼지진드기 이런 물질에 알러지가 흔합니다. 복숭아도 자주 알러지가 일어나는 물질입니다. 영화 기생충에 복숭아 알러지가 나왔던 적이 있습니다.

    알러지는 없앨 수 없고 원인을 피하는 방법뿐입니다. 그리고 증상이 심할때 증상 조절을 위해 약을 먹거나 냉찜질을 시행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알레르기 원인은 물리적인 자극, 약제, 음식 등 다양한 것들이 있습니다. 원인을 찾기 위해서 알레르기 피부반응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원인이 규명된 경우 해당 원인을 피하는 것이 첫 번째 치료입니다.

    증상에 맞게 치료하는 것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고, 이후에도 증상이 조절되지 않으면 단기간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등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병원 방문하여 상담받아보세요.


  • 알러지는 알러지 항원에 노출되면 몸에서 "감작"이라는 과정을 거쳐서 몸에 발생하며 이후 추가적인 노출이 될 경우에 두드러기,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질환입니다. 이 "감작"을 유발할 수 있는 물질은 그 어떤 것이라도 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섭취하거나 노출된 물질 들 중 갑작스럽게 감작이 되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안타깝게도 원인 물질을 모르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쉽지만 현대 의학기술로는 알러지 항원을 임의적으로 "탈감작" 시킬 방법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인 물질을 최대한 회피하고, 증상 발생시 항히스타민제 등 약물을 복용하며 증상을 조절하는 대증적인 치료를 하며 자연스럽게 "탈감작"이 되도록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특정 물질에 알러지가 있는 경우 뚜렷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 노출을 최소화 하면서 피하는 것이 상책이며 나이가 들면서 알러지 양상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보통은 복숭아털알러지입니다.

    알러지는 원인물질(항원)이 우리몸에 들어왔을때 면역반응이 활발하게 일어나 혈관이 확장되어 그 주변이 붓고, 간지러웅ㄹ 발생하게 하는 전달물질들이 생성되어 두드러기와 간지럼이동반되는 반응입니다.

    심한경우 아낙필락시스까지가게되는 경우 호흡 곤란으로 사망에 이를수있으므로 알러지반응은 상당히 조심해야합니다.

    본인이 보통 복숭아 알러지있는지 알텐데 모른경우라면 이번이 처음일수있습니다.

    치료는 증상이 발생한 이후라면 병원진료가 필요하지만

    가장중요한건 원인물질회피입니다.

    당분간 복숭아접촉은 안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음식 알레르기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음식물에 포함된 단백질에 대해 과잉 반응하면서 발생합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대부분은 달걀, 우유, 밀, 콩, 땅콩, 밤, 생선, 조개에 의해 나타납니다만 다른 어떤 음식에 대해서도 발생할수 있습니다.

    증상은 원인 물질 섭취 후 2분 이내에 두드러기, 입술과 입 주변 부종, 오심, 구토, 설사, 복통, 콧물, 눈물, 가려움 등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호흡 곤란, 가슴 압박감, 숨 막힘, 빈맥, 현기증, 의식 소실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에 대한 자세한 병력 청취, 혈액 검사, 알레르기 피부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원인 물질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음식을 알고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험이 예상되는 음식은 절대로 먹으면 안 됩니다. 자신이 음식에 알레르기가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부착물을 착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필요시 약물 치료를 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복숭아에 대한 음식 알레르기는 흔한 알레르기 입니다. 복숭아 알레르기가 있는 분들은 안 먹는 것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혹여 모르고 섭취한 이후에 반응이 나타난다면 바로 약물 치료를 해야 합니다. 간혹 증상이 심한 분들은 호흡곤란도 올 수 있어서 주의해야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2.10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대부분 복숭아 과육이 아닌 복숭아의 껍질에 있는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알레르기 가능성이 있어 섭취를 피하는것이 중요하고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것이 가장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음식 알레르기는 우리 몸이 특정 음식을 유해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음식에 과민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인 물질을 소량이라도 먹거나 삼켰을 때 증상이 나타납니다. 심할 경우 치명적인 아나필락시스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모든 음식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음식 알레르기는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이 단백질에 대해 과잉 반응할 때 발생합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약 90%는 달걀, 우유, 밀, 콩, 땅콩, 밤, 생선, 조개에 의해 나타납니다. 그 외 간장, 바나나, 멜론, 두유, 딸기류, 고추 등도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부모 중 한쪽이 알레르기가 있으면 아이에게 알레르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약 50%이고, 부모 양측이 알레르기가 있으면 약 70%입니다. 그 외 다른 알레르기나 천식이 있는 경우, 소화기관이 미성숙한 유아나 신생아의 경우 그 위험이 증가합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증상은 원인 물질 섭취 후 2분 이내에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주로 빨갛고 가려우며 부풀어 오르는 두드러기, 입술과 입 주변의 부종, 오심, 구토, 설사, 복통이 나타나며, 콧물, 눈물, 눈의 가려움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더 심한 경우에는 호흡 곤란, 가슴의 압박감, 숨 막힘, 빈맥, 현기증, 의식 소실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음식 알레르기의 치료로는 원인 식품을 알고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험이 예상되는 음식은 절대로 먹으면 안 됩니다. 어떤 형태인지 모르는 음식에 과민한 사람은 에피네프린의 응급 시 사용법을 익히고 늘 휴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팔찌나 목걸이 등의 부착물에 자신이 약물 알레르기가 있음을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식품을 피할 수 없거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 외 면역 조절제, 알레르기 면역 요법 등이 있습니다.

    음식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하면 반드시 원인이 되는 식품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피한다면 큰 문제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 위험이 예상되거나 재료가 불분명한 음식은 가능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복숭아 알러지가 있는 경우 가까운 알러지 내과에서 진료를 본 후 약을 처방받으면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