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환한벌새238
환한벌새23824.02.21

우박은 어떤 조건에서 내리게 되는건가요?

구름의 물방울이 뭉쳐 무거워져서 내리는데 온도가 높아서 물로 내리면 비, 추워서 결정으로 내리면 눈인 것 같은데요.

우박은 어떻게 내리는건가요?

눈이 내릴 때 보다 춥지 않은 것 같은데 우박이 내리는 경우가 있어서요.

어떤 조건일 때 우박이 내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이 내리는 가장 큰 조건은 불안정한 대기입니다.

    강한 상승기류, 구름 속 물방울이 많고 냉각 물방울과의 충돌이 발생하며 앞서 말씀드린 불안정한 대기 조건과 강한 대류, 그리고 충분한 수증기와 충분히 낮은 온도가 우박의 생성 조건이죠.

    이러한 조건들이 만나면 우박이 형성되며, 그 크기는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강력한 상승 기류가 있는 구름 속에서 만들어집니다. 구름 속에서 얼음 조각이 상승 기류를 타고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과냉각된 물방울과 충돌하여 점점 커지고 이 과정을 반복하며 크기가 커진 얼음 덩어리가 지상으로 떨어지면 우박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눈과 비는 구름 속의 물방울

    상태에 따라 구분됩니다.

    눈은 찬 구름 속에서 만들어진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는 따뜻한 구름 속에서 만들어진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박은 눈과 비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이는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까요?

    뇌우처럼 발달한

    구름 안에서는 강력한

    상승 기류가 발생합니다

    이 상승 기류는 구름 속의

    물방울을 위로 끌어 올립니다.

    상승 기류를 타고 올라가는 물방울은 높은 고도에

    영하의 온도에 노출되면서 얼음 결정으로 변합니다.

    얼음 결정은 상승 기류에 의해 계속 위로 올라가면서 다

    른 얼음 결정들과 충돌하고

    서로 결합하여 점점 커집니다

    얼음 결정이 충분히 커지고 무거워지면 상승 기류를

    이겨내지 못하고 땅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우박입니다.

    눈은 찬 구름 속에서만 만들어지지만 우박은

    상승 기류에 의해 찬 곳과

    따뜻한 곳을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눈보다

    덜 차갑습니다.

    눈은 보통 1mm 미만이지만 우박은 5mm 이상

    심지어는 10cm 이상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눈은 단순한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우박은 여러 겹의 얼음 결정이

    쌓여서 만들어져 양파처럼 층층이 겹쳐진

    구조를 가지고있습니다.

    뇌우처럼 발달한 구름이 있어야 합니다.

    구름 속에 충분한 수증기가 있어야

    물방울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상승 기류가 높아야 물방울이 얼음

    결정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봄 여름철에 주로 발생합니다.

    뇌우가 발생하기 쉬운 해안 지역

    산악 지대 등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우박은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자동차

    건물 농작물 등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 맞으면 부상을 입힐 수도 있습니다.

    뇌우 주의보가 발령되면 외출을 자제하고

    안전한 실내에 머무는 것이 좋습니다.

    차량을 차고에 넣거나 방수 천으로 덮어 보호합니다.

    우박망 등을 설치하여 농작물을 보호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는 낮아지는데, 우박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구름 속의 온도가 0도 미만으로 떨어져야 합니다. 우박은 물방울이 익어가는 과정에서 얼음 결정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구름 속에 충분한 양의 수증기가 존재해야 합니다. 우박은 구름 속에서 빠르게 성장하면서 크기가 커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대류 현상이 발생하여 구름 속의 입자들이 빠르게 움직이며 충돌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