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은저조한데 코스피는왜오르는건가요?
체감상 경제가진짜 어렵고 힘들고 경제성장률도안좋은거 뻔히아는데 왜이리 코스피는오르기만하나요? 제개인적인생각은 거품같은데 틀린건가요? 코스피가오르는 주요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실물경제가 어렵고 성장률이 낮아도 코스피가 오르는 현상은 주가와 실물경제의 디커플링 때문입니다.
주가는 현재보다 6개월~1년 뒤의 경기 회복 기대감과 기업 실적 개선 전망을 선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각국의 대규모 유동성 공급으로 갈 곳 없는 자금이 증시로 유입된 돈의 힘이 핵심 요인입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시총이 큰 소수 대형 수출주의 실적 기대감에 지수가 쏠려 내수 경기를 반영하는 체감 경제와의 괴리가 커집니다.
따라서 현재 주가 상승을 유동성에 의한 '거품'으로 보는 시각도 유효하며, 금리 인상 등 유동성 회수 시점에 급격한 조정이 올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은 미래를 선반영하기 때문에 현재의 저조한 경제성장률보다 향후 경기 회복 기대감이 주된 요인입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등 특정 산업의 실적 개선 기대와 함께, 정부의 벨류업 프로그램 등 기업 가치 제고 정책에 대한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강한 매수세가 코스피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율과 코스피는 별개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고성장을 할 때도 코스피는 여전했었기 때문에 지금의 상승은 과거의
못올랐던 상승을 한 번에 반영 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한동안 정책적으로 눌려있었던 주식의 억눌림이 이제는 해소되고 있는
모습으로 더욱 날아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률이 저조해도 자본시장이 정책 변화와 글로벌 유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단기적으로는 지수가 오를 수 있습니다. 코스피가 오르는 주요 원인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과 AI, 반도체 등 성장 산업 중심의 외국인 순매수 확대, 그리고 정부의 주주 친화적 상법 개정 등 증시 부양 정책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저조한데 코스피가 오르는 건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가장 중요한 건 주식시장이 현재의 경제 상황보다는 미래의 기대를 선반영해서 움직이기 때문에 현재 실물 경제가 좋지 않더라도, 미래에 대한 기업들의 실적 개선 전망이나 금리 인하 같은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 투자 심리가 개선되어 주가가 오르는 것이죠. 또한, 새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미국 및 중국 등 해외 국가와의 무역 협상 등이 우호적으로 기대심리를 자극하는 부분도 투기성 자본을 늘려나가며 주가가 상승하는데 일조하고 있습니드. 결국 기업의 미래 가치나 시장의 유동성, 투자 심리가 더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민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경제성장률은 실물 경제 위주로 돌아가고 코스피의 평가는 주식시장 즉 미래가치가 반영된 시장으로 돌아가기때문에 이런 차이를 보이는 것입니다
실물경제에서 성장이 저조하나 미래를 봤을때 미래성장률이 높고 이익이 날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주식은 고평가 되어 코스피에 선반영된것입니다
그리고 삼성전자나 하이닉스 같은 기업은 국가 경제는 저조하지만 산업 특성상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승중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