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방식 중 위탁판매수출을 진행할 때 유의할 점은 무엇인가요?
위탁 판매 방식으로 해외 마켓 진출을 시도중입니다. 무역 실무에서 위탁판매수출을 계약, 수익정산, 리스크관리 측면에서 진행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위탁판매수출(Consignment Export)은 해외 바이어(또는 유통업체)에게 상품을 선출고한 후, 실제 판매된 수량만큼 대금을 정산받는 방식을 말하는데 판매 대금 미지급 , 등의 대금회수 미지급의 리스크 가 가장 큰 리스크 일것압니다.
이를 위하여 소유권 이전과 반품 및 미판매시의 재고 처리 등의 명확한 계약 조건을 지정해야 할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위탁판매수출에 대한 계약을 맺을 때는 계약, 수익정산 등에 대한 측면을 잘 고려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계약적인 측면에서는 제품사양, 납기일, 결제조건, 판매수수료 등의 부분이 합의되어야 합니다. 또한 정산 주기를 설정하고 매출인식 기준 등을 설정해 위/수탁자간 수익/비용정산에 대한 부분을 확정지을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위탁판매수출은 수출자가 해외 판매자에게 상품을 보내고, 실제 판매된 후 수익을 정산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계약 단계에서 판매조건, 정산방식, 재고처리 조건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판매 대상 국가, 유통 채널, 희망소비자가격, 할인 조건 등을 계약서에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정산 주기, 환율 적용 기준, 미판매 재고의 반환·폐기 기준도 합의해두어야 합니다. 특히 수익 분배 방식은 ‘순매출 대비 정률’, ‘수출원가 대비 일정 마진’ 등으로 명확히 설정하고, 이를 입증할 수 있는 판매 보고서 제출 의무도 포함시켜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는 재고 부담, 미정산, 환차손, 브랜드 이미지 훼손 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현지 판매자가 재고를 과도하게 할인 판매하거나 시장 질서를 왜곡할 가능성을 막기 위해, 마케팅 활동 승인 절차나 지역별 독점권 제한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또한 미판매 상품에 대한 반품 조건과 반환 비용 부담 주체를 명확히 하고, 불가피한 미수익 발생 시 책임 분담 방식을 사전에 협의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모두 어려우시다면, 최근에는 소액의 물품이라면 소액물품 면세를 통하여 해당 국가의 홈페이지에서 직접 판매도 가능하십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위탁 판매 수출을 진행할 때 계약 조건을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판매 권한, 재고 관리, 반품 조건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하며, 특히 판매자가 재고 부담을 지는지, 수출자가 책임을 지는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합니다. 수익 정산 방식도 신중히 결정해야 하며, 매출 발생 후 지급 일정과 공제 비용을 사전에 조율해야 합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현지 시장 조사를 철저히 하고, 판매 대금 회수 지연이나 환율 변동에 대비한 조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