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요즘은 왜 도심 속 절벽이나 전봇대 위에서도 수리부엉이가 살게 되었어요?

옛날에는 수리부엉이가 산 속에서 주식인 들쥐나 멧토끼, 꿩이나 멧비둘기를 사냥하며 지냈지만 갑자기 도시개발과 농약, 쥐약과 교통사고로 인해 개체수가 줄어드는 바람에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서 보호를 했어요.

하지만 산과 들 뿐 아니라 절이나 시골, 절벽지대를 넘어 도심 속 건물, 교각, 전봇대, 절벽, 도시숲 등 다양한 범위에서 살고 있더라고요.

그렇다면 수리부엉이가 도시에 살게 된 이유는 시궁쥐를 넘어 고양이와 비둘기를 잡아먹기 위해 적응했나요?

요약 정보가 없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수리부엉이는 높은지대에서 관찰하는방식으로 사냥을해왔기때문에

    도심의 구조물들이 그 역할을 대신해서 정착이 가능해졌다고합니다.

    또한 비둘기나 쥐, 고양이오같은 중형먹이들이 풀부해서 먹이경쟁이 줄기도하면서

    도시환경에 빠르게 적응해냐갔다고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점점 도시화가진행되며 사냥을할만한장소가 줄어드는탓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히려도시생활에 적응하며 빌딩숲을 사냥터로활용하고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가장 큰 이유는 먹이 때문입니다.

    게다가 도심 환경은 수리부엉이가 원래 선호하는 절벽과 유사한 고층 건물이나 교각 등이 있어 서식에도 유리합니다.

    말씀하신 도시의 시궁쥐와 비둘기는 산 속의 들쥐나 꿩에 비해 개체수도 많고, 사냥하기도 쉽습니다.

    또한 개발로 인해 본래의 암벽 서식지가 줄어들자, 수리부엉이는 도시의 인공 구조물을 대체 서식지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또 약간은 외적인 부분이지만, 개체수 회복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천연기념물 지정 등 보호 노력으로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일부 개체가 경쟁에 밀려 새로운 생존 공간으로 도심으로 영역을 넓힌 것이죠.

    1명 평가
  • 수리부엉이가 도심에 서식하게 된 주된 이유는 도시 개발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먹이 부족 때문입니다. 원래의 서식지인 산과 들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도시로 이동하게 되었고, 도시 내에서 시궁쥐, 집비둘기, 고양이 등을 사냥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