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풍각쟁이
풍각쟁이

미국 철강관세 50% 확대되면 어떤 기업들이 영향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미국이 50% 관세가 적용되는

수입산 철강·알루미늄 제품 범위를

407종으로 확대해 한국 기업의

타격이 우려된다는 기사를 봤는데

우리나라 기업중 영향을 많이 받는

기업은 어느곳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철강관세 50퍼센트 확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게 문제가 있는데

    철강이 들어간 제품이라면 철강에 사용된 비용에 대해서

    50퍼센트 관세를 부과한다고 합니다.

    즉, 대부분의 철강이 들어간 제품이 다 영향을 받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한국을 대표하는 철강기업으로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두 회사는 미국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아 관세로 인한 매출 감소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스코의 경우 전체 수출 물량 중 미국 수출 비중이 3% 수준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한국의 최대 철강 수출국 중 하나이며 특히 수익성이 좋은 프리미엄급 시장이어서 관세 부과 시 수익성 측면에서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

    이번 관세의 가장 큰 특징은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407종이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철강을 원자재로 사용하는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이 간접적인 영향을 받게 됩니다.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업계, 가전 업계, 건설기계 및 농업용 기계 업계, 기타 제조업 등 다양한 중소, 중견 기업들이 예기치 않은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입산철강, 알루미늄에 50% 관세가 적용되면 포스코, 현대제철 등 철강업체가 직접 타격을 입습니다.

    자동차, 조선 등 철강 수요 산업에도 파급이 예상됩니다.

    수출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 하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철강이 들어간 모든 제품이기 때문에 우선 전자 제품들에 큰 타격을 주어

      삼성 lg전자가 타격을 입게 됩니다

    • 추가적으로 자동차는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들은 문제가 없지만 국내에서

      생산하는 차들은 경쟁력에서 밀리게 됩니다.

    • 종합적으로 우리나라의 굵직한 기업들이 타격을 입게 되는 구조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50퍼센트 관세를 407개 품목으로 넓히면 1차로 포스코 현대제철 세아제강 동국제강이 직격탄을 맞습니다. 냉장고와 세탁기 같은 가전도 부담이 커져 삼성전자와 LG전자 수익성에 압력입니다. 변압기와 전력장비 수출하는 LS일렉트릭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도 영향권입니다. 화장품 알루미늄 용기까지 걸리면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도 타격 우려가 있다는 관측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표적으로 철강업종이며 강관업체나 가전을 만드는 국내 삼성이나 LG에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터빈수출도 이번에논의되고 있었는데 이분도 영향을 받으며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자동차안에 들어가는 일부 부품에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즉 간단히 말하면 국내의 대다수 B2B기업들의 소재나 부품기업들의 영향을 받게 되는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즉 조선기자재 업체들 두산에너빌리티도 영향을 받게되며 국내의 중대형 강관업체나 피팅업체들 모두 이번 관세의 피해업종들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50% 관세가 적용이 되는 철강 알루미늄 분야에서의 관세인상의 경우 이는 제철산업이나 또는 자동차 산업에서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관세가 붙었다고한다면 그만큼 시장에서의 가치나 가성비가 좋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충성고객이 아니라면 가격에 흔들릴 수 있기 떄문입니다. 또한 장비를 활용하는 곳이나 전선 또는 전력을 활용한 곳이라면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