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에서 유의지정종목이라 뜨면 상폐예정이라는 말인가요?
거래소에 보면 가끔씩 주의와 유의가 붙는 코인들이 있던데
주의와 유의가 붙는 코인들은
상폐예정일이 정해진 코인들인가요?
아니면 거래량급등이라던가 다른 이유로도
주의와 유의가 붙을 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에서 유의종목으로 지정된 코인이 반드시 상장폐지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유의종목 지정은 해당 코인에 대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코인의 가격 변동성, 유동성 문제, 프로젝트의 불확실성 등 다양한 이유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거래소마다 유의종목 지정 후 처리 과정이 다릅니다. 일부 거래소는 유의종목 지정 후 일정 기간 동안 코인 발행 주체에게 소명 기회를 주며, 이 기간 동안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장폐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는 일주일, 빗썸은 30일, 코인원은 2주 이상의 기간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의종목 지정이 즉각적인 상장폐지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해당 코인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상황에 따라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유의종목이라는 것이
문제가 있는 종목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유의 종목이라고 하여 무조건
상장폐지가 되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세요.
거래소에서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면 해당 종목은 상장폐지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바로 상장폐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유의 종목 지정 후 개선 기간을 부여하며,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장폐지됩니다.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보통 거래량 급감, 유동성 부족, 시세조작, 기술적 결함, 해킹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유의 종목으로 지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각 거래소의 내부기준에 따라 다릅니다만 업비트의 경우 유의 종목 지정 후 통상 일주일간의 소명 기간을 코인 발행주체에 허용하며 이 기간에 제대로 된 소명을 하지 못하게 도면 거래지원이 끝나게 됩니다. 빗썸은 유의 종목 지정 공지 날짜부터 30일의 유예기간, 코인원의 경우 2주간의 유예기간을 주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거래소에서 유의지정 종목이라고 표시된 코인이 반드시 상폐 예정인 것은 아닙니다.
유의지정은 거래소가 투자자들에게 해당 코인에 대한 주의를 환기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종의 경고 표시입니다.
특정 코인의 거래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짧은 시간 안에 가격 변동폭이 매우 커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을 때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의지정 종목은 상폐 가능성이 높을 수 있기에 투자하실 때는 피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