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용감한나방218
용감한나방218

식물의 뿌리의 끝에서부터 삼투현상이 일어나는 건가요?

식물의 뿌리의 끝에서부터 삼투현상이 일어나는 건가요? 삼투현상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거라면, 뿌리는 항사 고농도상태인가요? 뿌리주변에 고농도의 영양분이 제공되어도 삼투현상이 일어날 수있나요? 뿌리주변에 뿌리보다 저농도일때는 뿌리가 말라비틀어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식물의 뿌리에서 주변의 토양으로부터 물과 무기염류를 흡수할 수 있는 원리는 '삼투현상'으로 인한 것입니다. 이때 삼투현상이란 반투과성막을 경계로 저농도에서 고농도 방향으로 용매인 물이 확산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흙 속 → 뿌리털 → 피층 → 뿌리의 물관 순서로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물이 토양으로부터 식물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토양에서 식물 방향으로 물이 이동하지만, 토양에 너무 많은 고농도의 비료를 뿌리게 된 경우 역삼투 현상으로 인해 식물체에서 물이 밖으로 빠져나가 식물이 메마를 수 있습니다.

  • 네, 맞습니다. 식물의 뿌리 끝에서부터 삼투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사실 뿌리는 항상 고농도 상태인 것은 아닙니다. 뿌리 내부에는 용해된 양분과 소금이 포함되어 있고, 이는 주변 토양보다 고농도를 이루죠. 하지만 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영양분과 물을 흡수하면 뿌리 내부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기도 합니다.

    또한 뿌리 주변에 고농도의 영양분이 제공된다고 해서 무조건 삼투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토양의 전체적인 수분 함량과 영양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충분한 수분이 있는 경우라면 고농도 영양분이 뿌리털 주변에 삼투압을 만들어 물 흡수를 촉진할 수 있지만, 만일 수분 부족 상황이라면 토양이 건조하면 뿌리 주변의 영양분 농도가 높아져도 물 흡수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뿌리주변에 뿌리보다 저농도일때는 뿌리가 말라비틀어지는 것이 맞습니다. 뿌리 주변 토양의 농도가 뿌리 내부보다 저농도일 때는 삼투 현상을 통해 물이 뿌리에서 토양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뿌리는 필요한 수분을 잃게 되어 점차 말라 버릴 수 있습니다.

  • 식물의 뿌리 끝 부분, 특히 뿌리털에서 삼투현상이 주로 일어납니다. 삼투현상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으로, 뿌리 내부의 세포액 농도가 뿌리 주변 토양의 용액 농도보다 높기 때문에 물이 뿌리로 흡수됩니다. 뿌리 주변에 고농도의 영양분이 제공되면, 삼투압 차이로 인해 물의 흡수는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만약 뿌리 주변이 뿌리 내부보다 저농도일 경우, 물은 뿌리로 흡수되지 않고 오히려 뿌리에서 토양으로 빠져나가 뿌리가 말라비틀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삼투압의 균형이 깨져 식물의 수분 공급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식물의 뿌리 끝부분에서 삼투현상이 주로 일어납니다. 삼투현상은 뿌리의 끝부분인 모세관세포에서 주로 발생하며, 이곳에서 물과 영양분이 흡수되어 전체 식물체로 이동됩니다.

    일반적으로 뿌리는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기 위해 항상 고농도 상태를 유지하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뿌리 주변에 물과 영양분이 더 높은 농도로 공급되더라도 삼투현상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삼투현상이 뿌리 내부의 활동과 환경 조건에 따라 조절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뿌리 주변이 뿌리보다 저농도인 경우, 뿌리가 말라비틀어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오히려, 뿌리는 저농도 상태에서 물을 흡수하고 고농도 상태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뿌리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적응하며 삼투현상을 통해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전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식물의 뿌리의 끝에서부터 삼투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맞습니다. 삼투현상은 식물의 뿌리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뿌리의 끝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식물 전체로 물과 영양분이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뿌리는 항상 고농도 상태가 아닙니다. 식물이 뿌리를 통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뿌리 주변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뿌리 내부의 농도도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뿌리는 항상 저농도 상태를 유지하며 이를 통해 삼투현상이 일어납니다.

    뿌리 주변에 고농도의 영양분이 제공되어도 삼투현상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뿌리가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뿌리 내부의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뿌리 주변에 고농도의 영양분이 있어도 식물은 삼투현상을 통해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뿌리가 말라비틀어지는 경우는 뿌리 주변의 물과 영양분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물과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식물이 적절한 환경에서 자라고 있고 뿌리 주변에 충분한 물과 영양분이 제공된다면 뿌리는 건조해지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식물의 뿌리에서 삼투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는 뿌리의 끝 부분에서 수분과 영양분이 흡수되어 식물 전체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뿌리는 항상 고농도 상태가 아니며, 뿌리 주변에 고농도의 영양분이 제공되어도 삼투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삼투현상은 뿌리 내부의 수분과 영양분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므로, 뿌리 주변이 저농도일 때에도 삼투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뿌리가 말라비틀어지는 것은 뿌리 주변의 수분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는 뿌리의 생존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