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조신한황로194
조신한황로194

수술후 사망등 위험을 어떻게 막을수있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22

수술중 사망, 혹은 수술후 30일이내 사망등 의료사고를 비롯한 각종 수술로인한 사망을 환자가 온전히 예방하려면 어떡해야되나요? 예방을 못하고 운나쁘게 죽고싶지않은데 수술후 사망도 운빨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수술중 사망은 환자측에서는 예방할 방법이 없습니다.

      수술후 사망의 경우 입원한 경우이외 퇴원한 경우 병원에서의 지시사항을 잘 따르시면 문제가 없습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대장내시경을 하고 용종을 뗐습니다. 당일 금식 금주를 강력하게 이야기했습니다. 남자분이셨는데

      말을 어기고 친구들이 괜찮다고 해서 저녁에 회식을 하였습니다. 새벽에 복통으로 응급실을 방문

      용종제거 부위 천공으로 수술하여 중환자실 입원

      이런 경우들이 비일비재 합니다. 의료진의 말을 잘 따라주시면 대부분 문제 없습니다.

      친구분들이나 주위분들의 경험을 빙자한 꼬임에 넘어가지 마세요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술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고 예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수술 중이나 수술 후 사망과 같은 심각한 결과는 매우 드물지만, 완전히 제로로 만들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환자 본인과 의료팀이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있습니다.

      수술 전에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혈액 검사, 심장 검사, 폐 기능 검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술과 관련된 위험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수술을 받기 전에 의사와 충분히 상담하고, 수술의 필요성, 위험성, 대안적 치료 방법 등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존에 앓고 있는 질환, 복용 중인 약물, 알레르기 반응 등 모든 의료 정보를 의료팀과 공유해야 합니다.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 의료진의 지시를 잘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합병증이나 감염의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후에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적절한 신체 활동을 하는 것이 회복을 돕고 수술과 관련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수술 후의 합병증을 막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것이 딱히 있지는 않습니다. 일단 수술 자체가 잘 되어야 하고, 수술 후 감염 관리도 중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