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FORIM-AK 와 CO 는 다른 말 인가요?

원산지증명서라고 대략 똑같은 내용으로 알고 있는데

FORM-AK 와 CO 똑같은 말인지 다른 말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어떠한 경우(무엇을지칭할때 예)원산지 증명서는 CO

라고 한다) 에 FORM-AK 와 C0를 사용하는지 확인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원산지증명서는 Certificate of Origin 줄여서 C/O라고 지칭합니다. 특히 FTA 원산지증명서의 경우 자율발급과 기관발급으로 구분되는데 한-아세안 FTA C/O의 경우 기관발급이며 FORM AK로 불리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해당 증명서 명칭 밑에 FORM AK로 기재되어 있기 때문에입니다.

    다른 협정으로 본다면 한-베트남 FTA의 경우 FORM VK, 한-인도네시아 CEPA의 경우 FORM KI-CEPA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둘다 사용할 수 있는 명칭이므로 다소 헷갈릴 수 있지만 발급된 증명서 우측 상단을 보시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원산지증명서는 관세특혜 목적의 원산지증명서와 비특혜 목적의 일반원산지증명서로 구분됩니다. 문의주신 내용의 경우 관세 특혜 목적의 FTA 원산지증명서로 보여지며, 실무상 간편히 C/O(Certificate Of Origin) 또는 COO라고도 부릅니다.

    여러 FTA 협정 중에 한-아세안 FTA 협정에서 사용하는 원산지증명서의 경우 협정상 특정 서식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 서식을 'AK-FORM'이라 부릅니다. 따라서 정확하게는 AK-FORM과 C/O가 동일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아니지만, AK-FORM 용어만을 사용하더라도 C/O임을 유추할 수는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CO의 경우 Cerificate of Origin으로 원산지증명서를 뜻합니다. 이러한 원산지증명서에는 FTA(특혜)그리고 일반(비특혜)원산지증명서가 있는바 목적 및 국가에 따라 여러종류가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AK FORM의 경우 이러한 CO 중에서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종류를 뜻하며, 통상적으로는 한-아세안 FTA의 FTA 원산지증명서를 뜻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FORM-AK, CO, AK-FORM 모두 원산지증명서를 지칭합니다.

    FORM-AK을 풀으면 FORM(증명서) ASEAN KOREA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AK Form(ASEAN-Republic of Korea Form)이란,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서(ASEAN -Republic of Korea Free Trade Agreement, 통칭 AKFTA)에 의거한 원산지 증명서를 의미합니다. 즉 AK -FOAM은 원산지증명서(C/O) 중 한-아세안 원산지증명서 서식을 의미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원산지 증명서란 물품을 생산한 나라 또는 물품의 국적을 의미하는 원산지를 증명하는 문서로, AK FORM의 경우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FTA)에 의거한 특혜 원산지 증명서를 의미합니다.


    즉 한 아세안FTA에서 사용되는 CO가 AK Form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form-ak는 co 즉 원산지증명서의 한 종류입니다.


    원산지증명서는 크게 특혜/비특혜 원산지증명서로 나눠지며 그 중 특혜 원산지 증명서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FTA 원산지증명서입니다.


    그중에서도 ak form은 한-아세안 FTA 원산지증명서를 말합니다.예를들어 말레이시아 수출 시 FTA를 활용한다면 ak form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수많은 CO형식 중 하나가 ak form 인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