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지금처럼의희망
지금처럼의희망

관절의 상당한 장애, 기능평가는 어떻게 하는걸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7
기저질환
복용중인 약

지체장애인 사람중에서 한 팔의 어깨관절, 팔꿈치관절 또는 손목관절 중 하나의 기능에 상당한 장애가 있는 사람이라면 기능평가는 어떻게 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관절의 가동범위와 근력을 검사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영상검사나 신체 검진을 통해 신체의 가동 범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관절 기능 평가는 일반적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힘, 통증 및 일상생활에서의 기능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전문 의료진이 관절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기능적 제한을 확인합니다. 이를 통해 장애의 정도를 판단하고 적절한 재활 계획을 수립할 수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관절의 상당한 장애를 평가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진행됩니다. 장애의 정도와 기능의 제한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치료와 재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평가에는 기능적 능력, 근육의 힘, 관절의 가동 범위, 통증 정도 등을 포함한 여러 측면을 평가합니다.

    먼저 관절의 가동 범위를 측정하여 얼마나 제한되는지 평가하고, 관절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정상보다 좁으면 기능적인 제한이 생깁니다. 치료자가 직접 관절을 움직여 가동 범위를 측정하고, 관절이 얼마나 부드럽게 움직이는지,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는지를 확인합니다. 뿐만 아니라 환자가 스스로 관절을 움직이며 범위를 평가하고,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정상적인지, 아니면 제한이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근력 또한 검사 하는데 관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근육의 힘을 평가하는 것으로 근육이 얼마나 강하게 작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여, 특정 관절을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지 확인합니다. 근육 약화는 관절 기능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또한 통증 평가도 하는데, 통증은 관절의 장애를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 . 관절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통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그 외에도 영상검사를 통해 관절의 구조적 변화나 골절, 관절염, 연골 손상등의 여부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검사를 통해 관절의 기능평가를 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