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대통령의 3.15 부정선거는 왜 일어난 건가요?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 박사가 말그대로 부정선거를 통해 재집권을 노린 거잖아요.
당시 대통령 후보로 이승만 박사가 단독 후보였던 걸로 아는데 왜 부정선거를 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0년 2월 3일, 정부는 선거를 기존의 5월에서 두 달 앞당긴 3월 15일에 치르기로 발표했습니다.
당시 이승만의 유력한 대항마로 주목되던 야당의 조병옥 후보가 신병 치료차 미국에 가 있는 틈을 타 유세를 할 수 없도록 해서 당선이 되기 위한 선거방법 인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애초에 후보가 한명인 것이 민주당 후보 조병옥이 갑작스럽게 사망했기 때문이니
부정선거 미리 계획하는거 이상한 일 아니었고
당시 대통령선거는 부통령도 따로 뽑았기 때문에 그쪽도 신경 써야 했습니다
그리고 3.15가 부정선거라 불리는 이유는
물론 투표 조작도 했지만 그 전에도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매우 꺼림직한 방법으로 반대파를 숙청하고
선거를 무리하게 2개월 앞당겨 진행했죠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54년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은 무리하게 사사오입 개헌을 통해 1956년에 이승만 대통령이 3선에 출마할 수 있게 하죠. 민주당 신익희 후보의 돌연사로 이승만은 당선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민주당 장면이 부통령에 댕선도, 무소속 조봉암 후보가 라이벌로 등장합니다.
위기감을 느낀 이승만과 자유당은 반공을 앞세워 장면을 피습하고, 국가보안법을 개정하여 진보당과 조봉암을 제거하는 등 독재 정치를 합니다.
그런데 1960년 4대 대통령에 이승만 정부는 오래전 부터 부정선거를 준비하였습니다. 민주당 조병옥 후보가 선거 직전 사망하면서 이승만 후보가 당선이 확실시 되었지만 85세의 고령인 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 정권이 민주당에 넘어갈 것을 우려해 조직적인 부정선거를 자행하죠. 결국 자유당 이기붕 부통령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3.15 부정선거가 4.19혁명을 촉발시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3. 15. 부정선거에서 이승만은 12년간 지속된 장기집권체제를 연장하고, 승계권을 가진 부통령에 이기붕(李起鵬)을 당선시키기 위하여 대규모 부정행위를 저질렀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