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단호한벌새48
단호한벌새48
22.04.24

코로나 19 확진된 이력 있어도 재확진 가능한가요?

나이
16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확진된지 30일정도 지났는데 계속 기침이 나요..

다시 확진 가능하다던데 그럼 자가키트해서 다시 양성 나오면 또 격리 들어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줍은관수리91
    수줍은관수리91
    22.04.26

    안녕하세요.

    예 가능합니다. 현재 진행되는 검사 및 발표에서도 재확진자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확진후 약 45일 이내에는 처음 확진된 바이러스로 인해 검출된다고 합니다.

    기침이 반복되는 증상은 후유증으로 인해 발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이 지속, 반복 된다면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시여서 진료 혹은 검사를 진행해보시는것을 권유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30일정도는 기침이 나는 이유는 후유증이라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45일을 기준으로 해외여행력이나 확진자노출력 등으로 재감염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 옥영빈 응급의학과 전문의blue-check
    옥영빈 응급의학과 전문의
    홍성의료원
    22.04.25
    의료상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확진된 이후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져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한동안 바이러스에 재차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며 항체의 역가가 감소하게 되면 추후에 재감염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보통은 6개월 정도 항체가 지속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30일 정도만 경과한 상황에서는 검사에서 양성이 나와도 확진을 내릴 수 없으며 접촉력, 증상 등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보건소에서 재감염 여부를 결정해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오미크론 변이 발생이후로 재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재감염은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 또는 45~89일 사이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이 기간은 확진 후 항체가 유지되는 기간이며 90일 이후에는 재감염될 수 있으니 개인위생을 신경쓰셔야합니다. 재감염율은 정확히 밝혀지진 않았지만 오미크론이 우세종이되면서 재감염자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

    완치 후 코로나 바이러스 체내 잔존 관련해서는 코로나 확진일로부터 45일 이전에는 양성이 나와도 재감염이 아닌, 기존 감염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국에서는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최초 확진일이 90일 이후 PCR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와, 최초 확진일 이후에 45~89일 사이 PCR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 노출력이 있는 경우에 대해 재감염 사례로 분류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기침은 상기도 감염 후 수주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감염 후에는 주로 기관지가 과민해져 작은 자극에도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성 기침의 원인은 역류성 식도염, 후비루, 천식 등 다양한 원인이 있으므로 증상이 오래 지속된다면 호흡기 내과에서 진료 및 검사를 받은 후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러므로 증상 호전이 없다면 병원에 내원하시어 진료를 받으시고 필요하면 강력한 진해제를 복용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우세종은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된 후에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재감염 시킬 수 있어 이론적으로 가능성은 있습니다. 재감염으로 확진되면 자가격리 7일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

    코로나 격리해제 이후에도 증상이 지속 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대개 1 - 2 달 내에는 호전된다고 합니다.

    기침 증상으로 불편함이 있으시면 병원 진료 보시고 약처방 등 치료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증상이 확진일로부터 3 - 4 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병원 방문하시어 정밀검사(x-ray, CT, 혈액검사 등) 받아보실 것을 권유드리고 있습니다.

    참고로 현재 방역당국에서 정의하는 재감염은 최소 45~90일이 지나서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국내 연구 결과로는

    재감염율은 0.31%, 재감염자의 70%는 무증상

    접종시 재감염률 66% 감소라고 합니다.

    답변 내용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네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45일 이내에 키트에서 양성으로 나오는 것은 재감염으로 보지는 않습니다만,

    증상이 더 심해질 경우 PCR을 통하여 재확진인지 판단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코로나 확진후 1달이 지나서 재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기침이 심하고 목이 많이 아프다면 코로나자가키트검사를 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현재까지 국내에 보고된 재감염 환자의 숫자는 약 290여명으로 총 감염자 수에 비하면 매우 낮은 확률입니다.

    재감염을 너무 걱정하지는 않아도 되겠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코로나 19 감염 후 완치되더라도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재감염 가능성이 있어 완치자라 하더라도 백신 접종을 2차까지는 완료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다만 완치자라면 3차 접종까지는 권고하지 않고 2차까지만 완료하시면 됩니다)

    코로나에 확진되고 완치된다면 직후에는 항체가 충분하므로 이후 바로 또 재감염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자가키트에서 양성이라고 격리를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4.25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확진후 45일간은 양성이 나와도 법적으로 재감염으로 판정하지 않습니다.

    백신접종자의 돌파감염과 마찬가지로 왼치자도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 이후에도 추가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스터 접종등 추가접종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감염 이후 다른 변이에 의한 재감염률이 유럽 일부지역에서 10%가까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방역당국은 미국 영국 등 해외 기준을 적용해

    △최초 확진일로부터 90일 이후 PCR 검사 결과 양성인 사람

    △최초 확진일부터 45~89일 됐고 PCR 검사 결과 양성이면서 유증상이거나 확진자 노출력이나 해외여행력이 있는 사람

    위와같은 경우 재감염자로 판단합니다.

    방역당국도 45일 기준으로 재확진으로 판정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확진되었던 경우 격리해제하여도 일부 바이러스 잔여물에 의해 위양성이 계속 발생할 수 있으나, 격리해제 45일 이후에는 증상이 있으면서 pcr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오면 재감염으로 인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감염 후 기침이라고 해서 상기도 감염이 생기고 나면 3-8주까지 기침이 있을 수 있습니다.

    8주가 넘어가면 만성기침으로 생각하고 X-ray 등 검사가 필요할 수 있지만 8주까지는 기다려보셔야겠습니다.

    혹시나 코로나 감염시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심하셨던 분이라면 내과 방문하셔서 검사를 해봐야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하시는게 좋겠습니다. 간간히 폐섬유화에 의해서 기침이 지속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코로나 감염의 재감염 기준은 최초 확진일 기준 90일 이후에 PCR 양성이거나 최초 확진일 기준 45-89일 사이에 PCR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을때입니다. 여기에 해당되면 격리 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코로나와 같은 바이러스는 한번 걸리면 면역이 생성되어 재감염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확률이고 간혹 드물게 재감염이 일어나는 경우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항체 지속 기간인 4~6개월 정도 후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시 걸렸을 때는 증상이 약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최영곤 의사입니다.

    현재 재감염에 대한 국내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초 확진일 이후 45~89일 사이 PCR검사 상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와 접촉 또는 해외여행력이 있는 경우

    2. 증상유무와 관계없이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에도 PCR검사 상 양성인 경우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재감염은 코로나 완치자가 90일이 지난 이후 다시 PCR 검사를 받았을 때 확진 판정을 받은 경우입니다.
    45~89일 사이의 경우도 증상이 있는 경우는 재감염으로 분류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된후 격리해제후 45일간은 양성이 나와도 재감염으로 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45일이 지나고 증상이 있으며 검사결과 양성이 나온다면 재감염으로 간주되어 격리 를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단순히 기침이 이어진다고 해서 재감염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확진 이후 30일 그 이상까지도 기침, 가래 증상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회복을 위해 시간이 걸린다고 보고 있으며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약을 꼭 복용하지 않아도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의 증상이 나타난다고 꼭 검사를 하지 않아도 되고 검사시 양성이 나와도 지금의 기간은 재검출로 판단하여 격리하지 않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재감염의 기준은 최초 확진 및 완치후 45-89일 이후 양성의 경우는 증상이 없을 경우 재감염이 아닌것으로 판단하며 만약 증상이 있거나 해외 여행력이 있다면 재감염으로 판단하고 격리를 하게 됩니다.

    또한 90일 이후 양성이 나온다면 증상과 관계없이 자가격리를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오미크론의 경우 델타변이보다 감염확률이 5배높다고 알려져있고 재감염확률은 16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완치 45일 이후 증상이 나타나면서 코로나 검사에서 양성인 경우 재감염으로 봅니다. 격리해제 이후 바로 재감염되지는 않습니다. 2022년 1월부터 3월 19일까지 재감염된 비율은 0.296%(866만4146명 중 2만5632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재감염되어도 또 격리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완치 후에 항체가 형성되기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데, 이 때 코로나19에 노출되면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국내 재감염률은 0.28%로 나타났으며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오미크론의 재감염률은 다른 변이의 16배 이상이라고 알려졌습니다.

    격리해제 이후에도 기침이 나오는 것은 후유증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격리해제 45일 후 증상도있고 pcr검사에서 양성으로나온경우 재감염이며 7일 격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 확진후 격리가해제되어도 흔한 후우증으로 기침 가래 인후통 무기력증 두통등의 증상이 오랜기간 나타날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역을 처방받아서 드시는게 좋습니다. 확진후 길게 3개월까지 양성이 나올수 잇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1. 재감염 추정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재검출된 경우

    - 최초 확진일 이후 45~90일 사이 재검출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 노출력(또는 해외여행력)이 있는 경우

    2. 최초 확진일 이후 45일뒤에도 pcr 양성이며 증상이 지속되신다면 보건소에 문의하셔서 재감염에 해당되는지 판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만약에 코로나 확진되고나서 완치 된 상태에서 다른 종류의 변이 바이러스인 경우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기는 어려우나 확진후 완치시에는 항체가 있기에 45일 이내에는 재감염의 확률이 낮아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도 한번 완치된후에 재발하는경우가 있기도 하며 재발한다면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다른 증상이 생기는지 여부는 개인의 면역체계에 따라 다르기에 예측은 어렵습니다.현재는 45일이내에 양성은 재감염으로 보고있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감염 이후 45일 이내에 자가키트 검사에서 양성으로 나오는 것은 단순 재검출일 가능성이 높고 45-90 사이에 재검출일 경우에는 코로나 노출력이나 역학적인 부분을 고려하여 단순 재검출이나 감염 여부를 결정하며 90일 이후에 재검출일 경우에는 코로나 재감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이후에 회복하게 되시면 자연적으로 항체가 형성이 됩니다.

    다만 현재 오미크론과 같은 코로나 바이러스 변이도 계속 나타날 뿐더러

    항체가 이겨낼 수 없을만큼 바이러스가 침투하게 되면 돌파감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간에 나타나긴 어려우며 45일 이후에 나타나는 양성을 재감염으로 판정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아마 코로나 후유증 같습니다. 재감염도 가능은 합니다. 최소 45일 지난 이후에 확진자 접촉 이후 증상 발현과 함께 PCR 양성이면 재감염이라고 진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이런 재감염의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정부에서도 반복 격리에 대한

    회의감이 있는 것이 사실이고 치명률이 낮아 제2종 전염병으로 낮춰 자택격리

    역시 의무가 아닌 권고 사항으로 변경하는 실정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기침의

    주된 원인은 재감염 보다는 바이러스 감염 후 염증 반응으로 인한 기관지염의

    증상으로 보고 있으며 실제로도 이에 준하여 병원에서도 치료를 하는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코로나 19 이전에 감염되었던 경우에도 다시 코로나 19 감염 가능성 있습니다.

    한달 지나서 자가키트 양성이면 코로나 감염 가능성 높겠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아닙니다. 현재로서는 자가진단키트에서 다시 양성이 나온다고 해서 격리를 하지 않고 감염 이후 45일 이내라면 재확진이 아닌 재검출로 보게 됩니다. 즉 감염 이후 아직까지 코로나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것이지 새롭게 감염되었다고 보지 않습니다. 물론 확진자와 접촉이 있거나 증상이 심하다면 재 검사를 해보아야 하지만 대부분은 재검출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 후 보통 45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거나 양성이 나와도 확진으로 판정하지 않습니다.

    단순 감기라고 생각하시면 되며 병원 방문해서 처방약정도 받아서 드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개인의 면역력과 기저질환 등에 따라 감염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감염 사례 또한 빈번하게 관찰되며, 완치 직후나 백신 접종 직후는 항체가 유지됩니다. 다만 이 시기에도 절대 코로나에 걸리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완치 이후 음성이 나왔다가 다시 양성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재감염으로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현 치과의사입니다.

    보통은 완치된경우 면역이 3-6개월정도 지속될 수 있으나, 개인마다 다양합니다.

    일정기간이상 지나면 재감염되거나, 변이바이러스에 의해 재감염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45일이전에 재 양성이 나온다면, 증상이 없다면 위양성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가격리해제 이후에도 기침이 계속 나는것은 롱코비드 현상으로 보입니다. 현재 양성이 나온다 해도 재감염되었을 가능성은 드물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