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은 녹이스는데 스테인리스강은 녹이 슬지 않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재료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일반적인 철은 녹이 잘 스는데 반하여, 스테인리스강은 녹이 잘 생기지 않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이 포함되어 있어 녹이 잘 생기지 않습니다. 크롬이 산소와 반응해 표면에 얇은 산화 크롬픙을 형성하여 부식을 막아주기 떄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철이 녹슬는 주된 이유는 산소와 수분과의 반응으로 인해 부식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을 포함한 합금으로 크롬이 산소와 반응하여 얇고 강한 산화막을 형성합니다. 이 산화막은 철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스테인리스강이 녹이 슬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학물질에 저항력이 있어 일반적인 환경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그러나 스테인리스강도 특정 조건에서 부식될 수 있으므로 올바른 관리와 사용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성민 전문가입니다.
스테인레스 스틸은 철 뿐만 아니라, 크롬 등이 포함되어 있는 합금입니다. (포함되는 물질의 종류나 양은 스테인레스 스틸마다 제각각 입니다.) 다만, 공통적으로 철 보다 잘 산화되는 물질이 포함됩니다. 즉, 녹이슬려면 철이 산소와 만나 산화되는 과정이 필수인데, 철 대신 산화되는 물질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철 대신 산화된 물질은 얇은 산화 피막을 형성하여 철이 산소와 만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해주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잘 녹슬지 않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을 첨가한 합금입니다.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얇은 산화 크롬 층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층은 내부의 금속을 보호하여 부식이 일어나지 않게 합니다.
이 때문에 스테인리스 강은 철보다 녹이 잘 슬지 않고 내구성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