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인도는 관세를 25% 맞았던데 인도경제자체가 미국의 관세와 연관성이 크게 없나요?

이번에 인도는 미국에 관세 25%를 맞았지만

러시아산 원유 구매 계획을 유지한다고 합니다

인도 경제 자체가 미국의 관세부과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인가요?

인도가 미국의 25% 관세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것은 인도경제의 어떠한 특수성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인도가 강하게 나오는 이유는 정치적으로 트럼프에게 맞설 수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됩니다. 인도는 경제적으로 아직 불안정하지만 세계인구 2위에 해당하는 국가이며 차세대 중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조건으로 협상을 하기 보다는 분쟁을 택한 듯 하며 이러한 부분으로 인하여 인도보다 미국이 손해가 더 클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많은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인도는 미국의 관세 25% 관세에도 내수비중이 높고 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대외 충격에 덜 민감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나 일본 등에 비해서는 협상에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56364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인도가 미국의 관세에 생각보다 조용한 이유는 단순한 무역 비중 차이 때문만은 아닙니다. 미국은 인도에겐 중요한 수출 시장이긴 하지만 전체 GDP나 성장 동력에서 절대적이진 않습니다. 특히 인도는 내수 비중이 굉장히 큰 나라라서 외부 수요 충격에 의존도가 낮은 편입니다. 러시아산 원유 계속 사들이는 것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글로벌 외교보다는 에너지 수급이 우선이고 미국의 제재 압박도 전략적으로 회피하려는 계산이 깔려 있는 겁니다. 달러 결제망에서 완전히 배제된 것도 아니라서 인도 입장에서는 당장 위협으로 체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경제구조상 서비스업과 디지털 산업이 강하고 미국과의 협력 관계도 다양해서 관세 하나로 전체 국면이 뒤흔들리진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