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헬린이아하라고하지요지요지경이다
헬린이아하라고하지요지요지경이다

청개구리같은 초등학교 2학년 아들 어떻게 키워야 할까요

원래 장난도 심하고 했는데 해가 지날수록 더욱더 장난이 심해지고, 하지말라고 한느데도 꼭 해놓고 혼나고 그래요. 저도 그럴수록 험한말만 나오고 어떻게 해야 될 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자녀가 말을 듣지 않아 걱정되시겠지만 이는 대부분의 아이들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서로 감정이 상하고 관계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몇 가지 방법들을 통해 개선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단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려고 노력해보세요. 이를 통해 서로간의 오해를 풀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족 구성원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들고 이를 지키도록 유도해보세요. 규칙을 지키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책임감과 자제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비난이나 처벌보다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어 올바른 행동을 하도록 유도해보세요.
    아이들이 변화하는데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인내심을 갖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만약 이러한 방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가 계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심리상담 센터나 교육기관 등에서 상담을 받으면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0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2학년 남자아이는 컨트롤 하기 쉽지 않을겁니다 그래도 아이에게 상대방을 배려해야함을 수시로 알려주심 좋을거같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특히 남자 아이들이 그런 경향이 많은 것 같습니다. 학급내에서도 했던얘기 또하고 또하는 경우가 허다하죠. 화가나고 힘들더라도 주변 사람을 방해하거나 기분 나쁘게 하거나 피해를 주는 행위에 대해서는 계속 따끔하게 혼내거나 훈육을 해주는 것은 꼭 필요합니다. 해야할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의 경계선이 허물어지는 순간 훈육은 너무나 힘들어지고 되돌리기 쉽지 않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장난기가 심하고 말을 듣지 않는다면 이와 같은 행동은 잘못 되었음을 인지시켜 주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의 장난을 심하게 치고 말을 듣지 않는다면 그 즉시 아이의 모든 행동을 stop 시키고, 아이를 사람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려가서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말을 듣지 않고 장난을 치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말을 듣지 않고 장난을 치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알려주세요.

    아이의 행동은 단 한번의 훈육으로 나아지지 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보일 때 까지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세요.

    그리고 아이의 훈육 시 부모님의 감정이 격해진다면 잠시 긴 호흡으로 숨을 들이마시고 내쉬기를 반복하면서 마음을 진정시킨 후에 훈육을 이어가는 거싱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을 하면서 장난꾸러기가 되어 갑니다. 그리고 아이들의 경우에는 부모님에게 반항을 하는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아주 자연스러운 단계를 거치는 것이긴 하지만 이 경우에는 훈육을 잘 해주셔야 됩니다. 위험한 행동이나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을 하면서 나쁜 물이 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지속적으로 관찰을 해주시고 아이을 관리해주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고민이 많으시겠습니다. 현재 아이의 이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긍정적인 강화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는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고, 긍정적인 주의를 받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이는 부정적인 반응보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더 원하기 때문에, 작은 성취나 노력을 칭찬하고 보상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일관성 있는 규칙을 설정해야 하는데요. 부모가 정한 규칙이 자주 바뀌거나 상황에 따라 달라지면, 아이는 혼란을 느끼고 반항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규칙을 명확하게 정하고, 그에 대한 일관된 대응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을 어길 때는 즉시 후속 조치가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차분하게 문제를 다루는 것이 좋답니다.

  • 안녕하세요.

    아이가 장난을 하는 것, 그리고 하지 말라고 해도 하는 건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레 일어날 수 있어요. 험하게 말을 하는 것보다는 단호하고 일관된 지도를 하는 게 좋을 듯 해요. 아이에게 이유를 물어보고, 설명하면서 일관된 규칙에 따라서 말하는 게 좋아요. 감정을 싣지 않는 쪽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청개구리같다는 말은 정말 제멋대로 행동하는거같습니다 아이의 감정에 공감해주시면서 남을 배려해야함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명확한 규칙 설정으로 긍정적인 행동에는 칭찬과 보상,

    규칙을 어겼을 때는 거기에 합당한 결과를 주도록 합니다.(휴대폰 금지, 놀이터 금지등)

    일관성 있는 규칙/일관성 있는 행동으로 적용 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