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럭셔리한페리카나150
럭셔리한페리카나150

올빼미는 어떻게 어두운 밤에 먹이사냥이 가능한가요?

박쥐의 경우에는 초음파로 먹이의 거리를 재서 사냥을 한다고 들었는데.

올빼미는 초음파를 사용하지는 않는거 같던데.

눈으로 보고 먹이 사냥 하나요?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체기관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올빼미가 초음파를 사용하지도 않는데 눈으로 보면서 먹이 사냥이 가능한 이유는 올빼미의 눈에 있습니다. 올빼미의 눈은 머리 크기에 비해 매우 큰 편으로 일부 종의 경우 눈이 머리의 약 5%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이렇게 큰 눈은 더 많은 빛을 수집할 수 있고 이는 어두운 환경에서 아주 작은 빛으로도 사물을 판별할 수 있는 시력을 제공합니다. 더욱이 눈의 망막에 막대세포가 많아 약한 빛에도 민감하게 반응이 가능합니다. 특히 이런 성질은 어두운 환경에서 빛을 감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 올빼미는 야행성 조류로 야간에 활동하기 위해 특별한 시각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올빼미의 눈은 크고 앞을 향해 있어 입체적 초점과 야간 시력이 뛰어납니다. 또한 눈의 밝기 감지 능력이 탁월해 미약한 빛에도 반응할 수 있습니다. 동공이 매우 커서 최대한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고, 눈꺼풀 주변의 둥근 깃털 무늬가 빛을 반사시켜 시야를 넓혀줍니다.

    이렇게 뛰어난 야간 시력과 더불어 청력도 매우 발달해 있어 먹이의 작은 소리도 포착할 수 있습니다. 올빼미는 이처럼 특화된 감각기관을 통해 밤에도 먹이를 사냥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올빼미의 야간시력은 매우 좋은 편이며 눈의 크기가

    매우 큽니다. 좋은 야간시력과 함께 청력도 좋은 편이며, 양쪽귀의 높이가 달라 소리가 나는곳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올빼미는 야행성 맹금류의 일종인 새인데요, 야행성 새이기 때문에 시력이 매우 발달해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 시력은 사람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눈보다는 야간의 환경에 더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으며, 사물을 보기에 적합하도록 밝기에 대한 구분을 잘 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올빼미의 청력은 사람의 10배 정도로 좋기 때문에 이러한 예민한 청력의 도움을 받아 야간에 사냥을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올빼미들은 말씀하신 대로 야행성이며 뛰어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해 주로 사냥을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올빼미가 어두운 밤에 먹이사냥을 할 수 있는 능력은 특별한 신체 구조와 감각 덕분입니다.

    올빼미의 눈은 매우 크고, 눈동자와 수정체도 커서 아주 작은 빛만으로도 어둠 속에서 사냥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올빼미의 눈은 정면을 향하고 있어서 시야가 110도 정도로 넓지 않지만, 이중 시력을 통해 거리감각을 향상시키고 먹이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올빼미는 목뼈가 12개에서 14개에 달하여 머리를 270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어, 정지상태에서도 등 뒤까지 360도를 살필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올빼미는 귓구멍이 크고 청각과 연관된 뇌 영역의 신경세포 수도 많아서 뛰어난 청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양쪽 귀의 높이와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소리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올빼미의 날개깃 가장자리에는 부드럽고 가는 홈이 있어서 날개 위 공기 흐름을 조절해 주며, 바람을 가를 때 나는 소리를 막을 수 있어 조용한 비행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올빼미는 어두운 밤에도 효과적으로 사냥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