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발표된 관세는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어제 미국에서 상호관세가 발표되었는데요. 해당 관세로 인해서 국내의 수출과 gdp가 얼마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하시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가이고, 특히 중국 및 미국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습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이나 gdp에 얼마만큼의 영향이 있을지는 그에 대한 영향을 조금 더 살펴볼 필요가 있곘지만 상당한 수준의 타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는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이는 한국의 주요 수출 산업인 자동차, 전자제품, 철강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해당 분야의 수출 감소가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은 미국 수출 의존도가 높아 큰 타격이 우려되며, 이는 관련 부품 산업과 협력 업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출 감소는 한국의 GDP 성장률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경제 분석에 따르면, 자동차 관세로 인해 GDP가 0.12% 감소할 수 있으며, 상호관세 전반으로는 약 0.206%의 감소가 예상됩니다. 이는 한국 경제의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진 한국으로서는 심각한 도전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현재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0%로 전망할 정도로 상황이 좋지는 않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25% 상호관세 부과는 한국 수출에 즉각적 충격을 줄 전망입니다. 반도체자동차철강 등 주력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 약화로 대미 수출 감소가 불가피하며, 올해 1분기 이미 수출이 전년 대비 2.1% 감소한 상황에서 추가 타격이 예상됩니다. 특히 자동차 수출은 1분기 1.3% 줄었고 철강은 6% 감소해 관세 영향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교란으로 중국베트남 등 제3국 생산기지 경유 수출에도 간접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미 FTA로 인해 일부 품목은 상대적 유리함이 있으나, 전체 수출 동력 약화는 GDP 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산업의 생산 감소와 투자 위축이 고용 및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글로벌 물류비 상승과 보호무역 확산은 무역 환경을 악화시킬 전망입니다. 정부는 협상을 통해 관세율 조정과 비관세 장벽 해소에 주력해야 하지만, 단기적 경제 충격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상호관세 25%를 적용 받게 되었습니다. 다만, 상호 관세 25%는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의 기존에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제품에는 추가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상호관세 조치로 인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가격의 경쟁력이 떨어지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동차는 상호관세는 피했으나 품목별 관세부과로 인하여 9.2조원 정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우리나라도 계속해서 전망을 내놓고 있으며, 향후 관세부과에 따른 영향이 발표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세계적으로는 GDP 0.6%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