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현재 일본에서 몽구스로 인해서 생태계가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잇는건가요?

현재 일본에서 몽구스로 인해서 생태계가 문제가 발생하고 잇다고 하는데요 몽구스로 어떤 피해가 있으며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 일본의 아마미오시마와 오키나와에서는 몽구스가 멸종 위기종인 아마미검은토끼와 얀바루쿠이나 등 고유종들을 포식하여 개체 수를 급감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몽구스는 뱀뿐만 아니라 곤충, 새, 양서류, 파충류 등 다양한 동물을 먹이로 삼아 생태계 균형을 파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몽구스는 농작물을 훼손하고 가축을 공격하여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입힐 뿐만 아니라 광견병과 같은 질병을 옮길 수 있어 인간에게도 잠재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실 일본은 과거 뱀 퇴치를 목적으로 몽구스를 도입했으나 몽구스는 뱀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도 포식하며 빠르게 번식하여 심각한 생태계 문제를 야기하는 것입니다.

  • 일본에서는 외래종인 몽구스가 도입된 이후 생태계 교란 문제가 심각해졌습니다. 원래 뱀이나 해충 퇴치를 위해 도입됐지만, 몽구스는 일본 고유종인 작은 포유류, 양서류, 조류 등을 공격하면서 멸종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키나와와 아마미 섬 등지에서 고유 생물종 감소와 생태계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몽구스 퇴치 및 관리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일본의 한 섬에서 생태계 보호를 위해 외래종인 몽구스를 포획해 온 결과, 30여년 만에 근절에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아사히신문은 "일본 환경성에 따르면 가고시마현의 섬 아마미오섬 지자체는 지난 1990년대 초반부터 30여년 간 퇴치 운동을 벌여온 몽구스가 이 섬에서 근절됐다고 선언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고양이족제비로도 불리는 몽구스는 몽구스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남아시아 등에 주로 서식하는데요, 귀여운 생김새와는 달리 코브라도 잡아먹는 뱀의 천적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지난 1979년 이 섬의 독사 대응책으로 약 30마리를 들여온 것이 발단이었는데요, 이후 몽구스가 빠르게 번식하면서 뱀은 물론이고 물고기, 곤충, 새알 등을 먹는 잡식성인 몽구스가 농작물을 해치고 토종 토끼 등 희귀종까지 먹어 치우기 시작한 것입니다. 결국 해당 지자체가 먼저 대응에 나섰고, 일본 정부도 함께 퇴치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는데요 지난 2000년 이 섬의 몽구스 개체 수는 1만마리에 달했는데, 본격적인 퇴치 작업이 시작되면서 한 해에만 3884마리를 포획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몽구스는 잡식성으로 빠른 번식을 통해 곤충, 물고기 등 토종 희귀종까지 먹어 치우면서 생태계 불균형이 일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찬 수의사입니다.

    몽구스는 인도에서 코브라와 같은 뱀을 잡아 먹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사실 코브라는 그렇게 선호하는 사냥감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 지역 오키나와에서 굉장히 생태계의 문제를 일으키는 유해 품종으로 알고 있습니다.

    각종 희귀 세들과 양서류 파충류들을 잡아먹고 살아서 생태계에 많은 문제를 일으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