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에서 깬다는거는 잠을 충분히 잤다는 신호인가요?
어느날은 아침 6시, 8시까지 푸욱자는 반면에 어느날은 4시에도 개운하게 깨는 경우가 있던데요. 이는 몸에서 충분히 잤다고 느꼈기에 잠에서 깨는건가요?
그렇기에 다시 잠이오지 않는건가요?
잠에서 깼다는 것만으로 수면 시간 및 질이 충분하였다고 판단할 근거가 되지 않습니다.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였더라도 잠에서 깬 이후에 뇌가 각성하면 다시 잠이 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그것은 사람마다 상황마다 다르긴합니다.잠잘때 수면주기가 있는데 한주기가 끝날때 깨게되면 개운하게 일어날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잠이 깨는 원리는 단순히 하나의 요소만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우선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조도, 즉 빛의 밝기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잠에서 깬다는 것은, 각성 상태로 돌아오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 보통 멜라노핀이라고 광수용성 단백질이 빛에 많이 노출이 되면 활성화가 되면서 각성 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보통 해가 뜨는 낮에 사람이 각성상태가 되는 원리가 이 부분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단순히 햇빛뿐만이 아니라 실내 조명의 영향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마다 적정한 수면 주기가 내제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일반적인 경우 사람은 1시간 반에서 2시간의 주기로 잠의 깊이단계가 변하면서 수면을 진행하게 되는데, 따라서 이러한 주기의 배수로 수면을 진행하는 경우 (즉 4시간 반에서 5시간 반 정도 사이)에 짧아도 개운하게 수면을 했다고 느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지속적으로 수면시간을 짧게 한다면 개운한 느낌이 있더라도 오래 지속되지는 않으며 보통은 7~8시간이 적정한 수면 시간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