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노란검은꼬리283
노란검은꼬리28323.07.31

금 현물 구입할때와 판매할때 차이가 큰 이유가 무엇인가요

금 현물 구입할때와 판매할때 차이가 큰 이유가 무엇인가요


금 현물 1kg 검색해보니 9천~1억대 가까운 가격인데요!!!


다시 판매할때는 7천만원대예요


세금이 너무 큰거 아닌가요?


무엇때문에 가격 차이가 큰 것인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달러 매수 매도처럼 금도 매수 매도에 대한 기준가격이 다르고 관련부대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통비용, 디자인 및 가공비용, 가공 시 손실 분 등이 살때와 팔때의 가격차이를 발생케 하는 주요한 이유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금일 살 때 단순한 골드바를 사는 경우도 있고 금반지나 다양한 모양의 금세곰품을 사게 되는데 이때 가공에 따른 공임이 들어가고 가공 할 때도 실제 손에 쥐는 금 중량 보다 더 큰 중량의 금을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됩니다. 또한 유통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마 살때는 부가세 10프로가 추가되서 그런거 같은데요 정확히 금거래소에 문의해 보심이 어떨가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의 경우는 사고 팔때 세금이 발생하고, 또한, 현금 대비 상대적으로 시세변동과 유동성이 낮아 매수 매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 현물에 대한 부가가치세가 상당하며

    그리고 중간에 마진 등으로 인하여 가격 차이가

    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을 판매할 때와 구입할 때의 가격 차이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금을 구입할 때는 세공비, 인건비, 큐빅값, 부가세 등 금값 외 별도로 부과되는 것들이 있으나 팔 때는 순수 금값만 계산이 되기 때문에 가격 차이가 발생합니다.

    금은 투자용으로 사실 때는 수수료가 부담되기 때문에 구매자가 느낄 수 있는 차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