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정책 변화, 무역 시장 전망은 어떻게 바뀌나요?
미국의 관세 부과 및 제외 품목 발표로 무역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향후 미중 무역 갈등 확대 가능성과 대비 방안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이번 미국의 관세 부과와 일부 품목 제외 발표는 시장에 상당히 혼재된 반응을 불러오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고, 다른 한편에서는 핵심 소비재 품목들이 빠졌다는 점에서 일시적 안도감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나 IT 부품처럼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과 관련된 분야는 관심이 클 수밖에 없는데, 현장에서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중 간 무역 갈등이 쉽게 끝날 싸움은 아니라고 봅니다. 관세는 단순히 물건에 매겨지는 세금이 아니라, 정치적 메시지이자 전략 무기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대선이나 외교 이슈에 따라 더 예측 불가능하게 전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 품목 제외도 일시적 완화일 뿐, 결국은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라는 더 큰 그림 속에 있다는 점에서, 기업들은 단기 이슈보다 중장기 전략 수립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 관세정책 변화에 따라 다른 국가들은 보복조치 또는 협상의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출국 및 수출기업의 입장에서는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수출액이 감소하는 등의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한 움직임이 가속화될 수 있으며 특히 미중간 무역갈등 ㅎ상황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많은 국가들은 공급망 다변화와 관세/규제 모니터링에 더 신경써야 하고, 일부의 경우 현지화전략 등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및 일부 품목 제외 발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가격 변동을 불러오며 무역시장 전반에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습니다. 특히 미중 간 갈등이 재점화될 경우 특정 품목에 대한 수입 규제가 강화되고 우리 수출기업에도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원산지 다변화,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 전략적 물류 경로 확보 등을 통해 리스크를 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이 스마트폰, 컴퓨터 등 주요 전자제품을 관세에서 일시적으로 제외하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애플,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다만 중국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대한 관세 제외가 일시적인 조치이며, 향후 반도체 등 핵심 기술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검토 중이라고 하여 더욱더 복잡한 상황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는 공급망의 다변화 . 환율 방어 등이 대비 방안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