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일반적으로인상적인고기만두
일반적으로인상적인고기만두

철새에는 어떤 종류의 철새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백로가 철새인것은 압니다. 조류 중에서 철새의 종류가 어느 정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고 계신분은 정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철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철새로는 백로 황새 갈매기 쇠똥구리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 서식하는 철새로는 황새 노랑부리떼새 노랑부리도요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철새들이 있으며 매년 이주하는 철새들도 있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철새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새로운 정보가 있을 때마다 공유하고 있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철새'란 계절에 따라 규칙적으로 번식지를 떠나 월동지에서 월동 후 다시 번식지로 돌아오는 이동을 하는 새를 말하는데요, '여름철새'는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하고 가을에 아열대 또는 열대지방으로 이동하여 겨울을 난 뒤 이듬해 봄이 되면 다시 우리나라로 오는 새를 말하며 예시로는 제비, 뻐꾸기, 꾀꼬리, 백로류, 물총새 등이 있습니다. '겨울철새'는 시베리아나 만주, 몽골 등 북쪽에서 번식을 하고 가을이 되면 우리나라로 찾아와 겨울을 나고 봄이 되면 다시 북쪽으로 이동하는 새를 말하며 예시로는 큰고니, 큰기러기, 민물가마우지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 기러기: 가을에는 북쪽으로, 봄에는 남쪽으로 이동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하늘길을 따라 남쪽으로 날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제비: 봄과 가을에 이주합니다. 여름철에는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하며, 겨울철에는 남쪽으로 이동합니다.

    - 황조롱이: 봄과 가을에 이주합니다. 물가 근처에서 서식하며, 가을철에는 남쪽으로 이동합니다.

  • 우리나라에는 백로를 포함하여 약 200종 가까운 철새들이 찾아오묘 이는 전체 조류 종의 4분의 1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철새들은 크게 여름철새, 겨울철새, 나그네새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여름철새는 봄에 한국으로 와서 번식하고 가을에 남쪽으로 이동하는 새들입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제비, 뻐꾸기, 왜가리, 해오라기 등이 있습니다.

    겨울철새는 여름에는 시베리아나 만주 등 고위도에서 번식하고 겨울에 한국으로 이동하는 새들입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기러기, 오리, 두루미, 갈매기 등이 있습니다.

    나그네새는 봄과 가을에 한국을 지나가는 새들입니다. 짧게 머무르기도 하고, 먹이를 먹고 가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도요새, 물떼새 등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백로는 여름철새에 속하며, 한국에서 봄에 날아와 번식 후 가을에 다시 남쪽으로 이동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먼저 철새는 이동 거리에 따라 분류되는데, 이동 철새는 주로 기후 변화가 심하지 않은 지역에서 활동하고 수백 킬로미터 내외를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겨울철에 남쪽으로 이동하여 겨울을 보내는 멧새같은 철새들이 있습니다. 중거리 이동 철새는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하고 계절 변화에 따라 북쪽과 남쪽을 오간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새들은 지중해를 넘어 아프리카로 이동하는 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장거리 이동 철새는 대륙 간을 이동하고 북극에서 남극까지 수만 킬로미터를 이동하는 제비와 같은 새들이 있다고 합니다.

    철새는 서식지의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철새들은 서식지의 기온, 식량 공급, 번식지의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이동 경로를 정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북반구의 철새들은 겨울철에 온도가 낮아지고 식량이 부족해지면 남쪽으로 이동하여 더 따뜻한 지역에서 겨울을 보냅니다. 이런 환경 변화에 따라 철새들은 해마다 비슷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기후 변화나 환경 파괴로 인해 이동 경로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철새들은 이동시에 철새들은 지구 자기장, 태양의 위치, 별자리 등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찾아간다고 합니다. 일부 철새들은 매우 정밀한 내비게이션 능력을 가지고 있어, 매년 같은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정확히 같은 번식지나 월동지에 도착합니다. 예를 들어, 북극 제비는 이러한 능력들을 이용해서 북극에서 남극까지 약 20,000킬로미터를 이동하고 이는 지구 둘레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리입니다. 이러한 이동 능력은 아직도 많은 과학자들에게 연구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철새마다 각자의 방식과 이유에 따라 종류가 나뉘고 사람들은 그에 맞춰 이름을 지어주기도 하였습니다.

  • 철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전 세계적으로 수천 종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철새로는 제비, 기러기, 두루미, 백로, 황새, 청둥오리, 왜가리, 제비갈매기, 알바트로스, 갈매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계절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를 오가며 장거리를 이동합니다. 철새들은 크게 여름철새(봄에 와서 가을에 떠나는 새), 겨울철새(가을에 와서 봄에 떠나는 새), 나그네새(봄과 가을에 잠시 머물다 가는 새)로 구분됩니다. 각 종의 철새는 독특한 이동 경로와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기후 변화와 서식지 파괴 등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말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