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이익준비금,자본준비금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안녕하세요ㆍ회사의 재무제표에 이익준비금과 자본준비금이라는 항목이 있는데요ㆍ이 차이는 무엇인지요 ? 아시는분 설명 부탁드립니다ㆍ감사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익 준비금과 자본 준비금의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두 준비금은 모두 법정 준빅슴으로
이익 준비금은 이익을 적립재원으로 하는 것이고
자본 준비금은 영업이익 이외의 특수한 재원으로 적립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준비금은 영업활동에서
얻은 이익을 재원으로 적립하는 것이며
자본준비금은 자본거래 등에서 발생하여 얻은
이익을 재원으로 적립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준비금은 기업이 이익잉여금을 적립해 자본건전성을 높이려는 목적의 법정적립금입니다. 반면 자본준비금은 주식발행 초과금 등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는 항목으로 주주의 자본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은 모두 법정준비금이지만, 발생 원천과 적립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자본준비금을 회사 밖에서 들어온 돈, 이익준비금은 회사 안에서 번 돈으로 쌓는 준비금입니다. 자본준비금은 회사의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이익을 적립한 것입니다. 자본거래는 주주와의 거래를 의미하며, 회사의 영업활동과는 무관합니다. 이익준비금은 회사의 영업활동으로 얻은 이익, 즉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적립한 것입니다. 이는 회사의 정상적인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돈입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준비금이란 회사가 이익을 냈을때 그 이익 전부를 배당하지 않고 배당금의 10% 이상을 자본금의 절반이 될때까지 의무적으로 적립해야하는데 이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자본준비금은 기업이 주식을 발행할때 액면가보다 비싸게 발행하여 생기는 초과분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준비금과 자본준비금의 차이는 발생 원천과 적립 및 사용 목적에 있습니다. 이익준비금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을 재원으로 법에 따라 일정 비율 이상 적립하는 법정준비금으로, 자본금의 절반에 이를 때까지 적립해야 하며, 주로 결손 보전과 무상증자에 사용됩니다. 배당시 10% 이상 적립이 강제됩니다. 자본준비금은 주로 자본거래(주식발행초과금 등)에서 발생하는 잉여금으로 적립 한도가 없고, 결손 보전, 자본 전입, 감액배당 등에 사용됩니다. 이는 자본의 건전성을 위해 적립되는 준비금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준비금은 회사가 이익잉여금에서 법적으로 일정 비율을 떼어 쌓아두는 적립금으로, 배당이나 손실 보전에 대비하는 성격이 강합니다. 반면 자본준비금은 주식을 발행할 때 생기는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같은 자본거래에서 발생하는 금액을 모아둔 것으로, 영업활동의 이익과는 별개입니다. 쉽게 말해 이익준비금은 영업에서 번 돈 중 일부를 강제로 묶어두는 거고, 자본준비금은 자본거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쌓이는 금액입니다. 둘 다 함부로 배당으로 쓰지 못하게 제한이 있지만 성격과 발생 배경이 다르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잉여금과 자본준비금의 차이는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영업활동에서 창출되는 이익에서 적립되는 금액이며, 자본금의 1/2까지는 적립해야됩니다. 자본준비금의 경우 회사의 영업활동이 아닌 자본거래인 주식발행이나 감자에서 발생하는 금액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는 영업활동을 합니다 즉 매년 영업활동을 벌어들여서 발생하는 순이익은 연말 결산시점에서 이익준비금 항목으로 빠지게 됩니다 이를 이익잉여금이라고하며 해당 항목에서 이익준비금항목이 있는것입니다 사실상 이익잉여금으로 보시면됩니다.
자본준비금은 주주로부터 받은 돈을 말합니다. 즉 초기에 납입한 자본은 자본금이며 이후에 추가적으로 증자를 한다거나 해서 공모를 통해서 추가로 이렇게 증자된 돈이 바로 자본준비금 항목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익준비금이란 이익을 적립재원으로 하는 법정준비금이고, 자본준비금은 영업이익 이외의 특수한 재원으로 적립되는 준비금입니다.
회사의 이익 중 일부를 적립하는 것이 이익준비금, 자본잉여금을 회계기준에 따라 적립하는 것을 자본준비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제무재표를 통해 보면 다양한 용어들이 나옵니다. 가령 이익준비금의 경우 이익을 추후에 어떠한 사업들에 활용하기 위해 모아두는 금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추후 개발, 투자 등에 사용이 됩니다. 자본준비금의 경우 유사한 내용이지만 회사가 다양한 자본을 거래하면서 발생하는 이익을 모아두는 것으로 추후에 활용할 수 있게 준비를 해두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것은 차이는 있지만 결국 추후를 위해 모아두는 금액이라는 것은 동일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나라사랑카드는 사실상 혜택 차이가 크지 않아서 KB가 제일 무난하다고들 많이 합니다. 군 생활하면서 쓰는 데 크게 불편 없고 카드사 서비스도 안정적이라 괜히 다른 거 고르느라 머리 아플 필요는 없다는 얘기도 많습니다. 다만 카드 혜택이라는 게 본인 생활 패턴이랑 맞아야 체감이 되니까 혹시 쓰임새가 다른 쪽에 맞으면 비교해 보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이익준비금이랑 자본준비금은 이름은 비슷한데 성격이 다릅니다. 이익준비금은 회사가 영업해서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적립해두는 거고 자본준비금은 주식 발행이나 감자 같은 자본거래에서 생긴 금액을 적립하는 겁니다. 둘 다 회사 자본을 두텁게 하기 위한 목적이긴 한데 출처가 다르다고 이해하면 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