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폐지줍는 고블린
폐지줍는 고블린23.08.13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이유가 먼가요?

특정일에 한번씩 개기일식이 일어나는것 같은데요

지구가 자전하는데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가 뭔가요? 그냥 달이랑 중간에 행성이 겹치면서 나타나는건가요?

아니면 특별한 이유가 있는건가해서요.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태양의 광선이 지구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가리는 현상입니다. 이는 달의 그림자가 지구 표면에 떨어지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염정흠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리면서 생겨나는 현상입니다. 태양, 달, 지구 순서로 일직선상(꼭 일직선이 아니라 달에 의해서 태양빛이 가려질 정도로 위치해도 됩니다.)에 자리했을 때 달에 의해서 그림자가 생겨나고 그 그림자의 중심에 가까운 지역에 있는 사람들의 시야에서는 달이 태양을 완전 가린 것처럼 보이고,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일부분만 가린 것처럼 보입니다.


    일식을 잘 설명한 그림입니다. 그리고 달이 태양과 더 가까울 때는 금환일식이란 것도 생겨납니다.


    일식의 형태에 따라 잘 설명된 그림도 첨부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대낮에도 달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간혹 달에 의해 해가 가려지는 부분일식이나 일식이 일어나기도 하죠. 이는 태양-달-지구 순으로 천체가 놓이며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 때문에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식은 달이 태양앞을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그림자가 지구표면에 닿을때 만들어지고, 완전히 가려지는 진한그림자가 있는 지구의 지역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습니다.

    그 근처의지역에서는 부분일식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태양사이를 지나면서 태양빛을 가리면서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보름달 단계에서 발생합니다. 이때 달은 지구와 태양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여 태양 광선을 가리게 됩니다.개기일식은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야 발생합니다. 태양, 지구, 달이 이러한 정렬을 이루면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가게 되어 태양 빛을 차단하게 됩니다 달의 궤도가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번 개기일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달의 궤도가 지구의 궤도 평면과 만나는 지점이 개기일식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태양-달-지구 순서로 배열될 때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려버리는 현상이다. 태양과 달이 완전히 겹쳐졌으나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 태양면 전부를 가리지 못해 반지 모양으로 가려지면 말그대로 금환식 또는 금환일식이라고 한다. 개기일식의 경우 태양의 광구에서 나오는 강한 빛이 가려지기 때문에 평소에 맨눈으로 볼 수 없던 홍염이나 채층,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다.


  •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정확히 위치하여 태양 빛이 달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인합니다. 아래는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이유를 자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1. 지구, 달, 태양의 정렬: 개기일식은 지구, 달, 태양이 한 직선에 정렬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이 때 태양의 빛은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게 됩니다.

    2. 월식 평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달의 궤도는 약간 경사진 평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월식 평면이라고 합니다. 개기일식이 발생하려면 태양, 지구, 달이 월식 평면 상에서 정확히 일직선에 위치해야 합니다.

    3. 달의 위상: 개기일식은 보름달 때에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름달은 지구와 태양이 달의 양쪽을 각각 비추는 상태이므로,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태양 빛을 받게 됩니다.

    4. 지름이 큰 지구 그림자: 개기일식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지구 그림자가 달을 완전히 덮을 만큼 충분히 크고 길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을 때 지구 그림자의 크기와 형태가 적절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이 모두 만족되어야 개기일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 그리고 달의 궤도 등 여러 가지 천문학적인 현상들의 복잡한 조합에 의해 결정됩니다. 개기일식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현상이며, 관측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과 장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개기일식을 알려면 일식을 알아야합니다. 일식은 달이 태양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는 천문현상을 말합니다. 지구에서 태양을 볼때 태양이 달에 의해서 가져지는 것인데요. 이런 현상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이 지구를 공전하여서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면서 달이 지구를 공전하니깐 어느 순간 지구와 달과 태양이 일직선상에 있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그럼 달에 의해서 태양이 가려지게 되고 그걸 일식이라고 합니다. 이때 태양이 달에 완전히 가리면 개기일식, 일부만을 가리면 부분일식, 해와 달이 겹쳐졌으나 달이 해를 전부 가리지 못해서 태양의 안쪽만 가려져서 반지 모양으로 가려지면 금환식 또는 금환일식이라 합니다.

    (도움 문헌 : 위키백과 - 일식)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위치하여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천문 현상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의 크기가 태양의 크기와 거의 같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달의 지름은 태양의 지름의 약 400분의 1이지만, 달은 태양보다 지구에 훨씬 가까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달은 지구에서 볼 때 태양과 거의 같은 크기로 보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순간 발생합니다. 이때는 지구의 일부 지역에서는 태양이 완전히 가려져서 어두워집니다. 개기일식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희귀한 천문 현상 중 하나입니다. 개기일식은 약 2년에 한 번씩 발생하며, 한 지역에서 개기일식을 볼 수 있는 시간은 약 3분 정도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의 중간에 위치하여 태양의 광선이 달에 가려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태양, 지구, 달의 정확한 위치와 각도에 의해 발생하며, 자전과 관련한 직접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개기일식의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달의 위치: 개기일식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태양, 지구, 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해야 합니다. 이때 달이 지구와 태양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면 태양의 광선이 달에 가려져 지구에 그림자를 던집니다.

    2. 달의 크기와 거리: 달이 태양보다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개기일식이 발생하려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와 달의 크기가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정도로 조합되어야 합니다.

    3. 지구의 대기의 영향: 지구의 대기가 태양 광선을 산란시키는 영향을 받기 때문에 태양 광선이 달 주위로 산란되는 경우 반사되어 달을 밝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현상이 개기일식 중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기일식은 태양, 지구, 달의 정확한 위치와 크기, 대기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자연 현상입니다. 이는 달과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나며, 이를 정밀하게 예측하기 위해 천문학적 계산과 관측이 이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뿐만아니라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일식이나 월식등은 지구와 달의 공전에 의한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일식은 태양이 달에 가려져 태양 빛을 가리는 현상으로 태양-달-지구 순으로 위치하게 되면 발생합니다.

    즉 자전보다는 공전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이유는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가면서 태양의 빛을 가리기 때문입니다. 달은 지구의 위성이기 때문에 지구와 태양의 거리와 크기가 비슷합니다. 이로 인해 달은 지구에서 바라보면 태양의 크기와 거의 같습니다. 따라서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가면 태양의 빛이 완전히 가려지고 개기일식이 발생합니다


  • 달은 지구주위를 공전합니다. 달의 공전 궤도와 지구의 공전궤도가 일치하며 그믐인 경우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을 일식이라고 합니다. 태양과 달의 겉보기크기가 같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이기 때문에 달이 지구에서 멀어진 상태에서 일식이 일어나면 태양을 전부 가리지 못해 테두리가 남아서 반지모양으로 보이는 금환일식이 일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개기일식은 태양-달-지구 순서로 배열될 때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현상이다. 태양과 달이 완전히 겹쳐졌으나 달의 시직경이 태양의 시직경보다 작아 태양면 전부를 가리지 못해 반지 모양으로 가려지면 금환식 또는 금환일식이라고 한다. 개기일식의 경우 태양의 광구에서 나오는 강한 빛이 가려지기 때문에 평소에 맨눈으로 볼 수 없던 홍염이나 채층, 코로나를 관측할 수 있다.

    개기일식은 달의 본그림자(umbra)가 놓이는 지역에 있는 관측자에게 나타난다. 달의 본그림자의 바깥쪽에 있는 반그림자(penumbra) 부분에서 보면 달의 중심이 태양의 중심과 어듯나 있게 되어 부분일식으로 보인다.

    출처:천문학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