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변을 보았을 때 해야 하는 검사는 어떤 건가요?
가벼운 일시적인 배아픔이 약 10-20분간 지속된 뒤 갑자기 혈변을 보았습니다. 이후 배아픔은 사라졌고 기분탓인지는 모르겠지만 오른쪽 허리부근이 약간 뻐근하고 무게중심이 오른쪽으로 쏠린 느낌이 나요. 새빨간 혈변이었고 딱딱한 변은 아니고 형태가 잡혀있지만 무른 변이었으며 변 자체가 피로 빨간색이었습니다. 항문 통증은 전혀 없습니다.
이럴 때 어떤 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검사비용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선홍색 피와 변기 물이 빨갛게 변한 경우 항문 출혈의 가능성이 생각되나 반복된다면 장 출혈을 감별하기 위한 내시경 검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인근 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혈변은 대변에 선홍색의 피가 섞여 있는 증상으로, 소장, 대장, 직장 등 하부 위장관에서의 출혈을 시사합니다. 이는 소량의 피가 대변에 묻거나 핏덩어리가 나타날 수 있으며, 설사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변과는 달리 흑변은 위장관 상부 출혈로 인한 검은색 변을 나타냅니다. 이는 헤모글로빈이 위산과 반응하여 변색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혈변의 증상은 각각의 질환에 따라 다르며, 오심, 복부 팽만, 설사, 경련, 갈증, 저혈압, 빈맥,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 손실된 혈액량이 전체 혈액량의 40% 이상이라면 저혈량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장 질환, 직장 질환, 항문 질환 등이 혈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장암, 대장 용종, 궤양성 대장염 등이 대장 질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직장암, 직장 용종도 혈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항문 질환으로는 치핵, 치열, 치루 등이 있습니다.
혈변의 진단 및 검사는 혈변의 색깔, 피가 대변의 겉과 안 중 어디에 묻어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대장내시경 검사, 혈관촬영술, 방사선동위원소 스캔 등을 통해 출혈 부위를 찾아냅니다.
혈변 환자의 치료는 출혈량 평가 후, 출혈량이 많을 경우 수액요법이나 수혈 등을 먼저 시행합니다. 출혈의 원인과 부위를 찾아내어 질환에 맞는 치료를 시행하며, 출혈 부위를 지혈하기 위해 내시경, 올가미, 스테이플러, 고주파 등을 이용합니다.
일단은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설사 항문질환이더라도 내시경 및 혈액검사를 기본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검사비용은 병원마다 다릅니다
일단 항문 질환으로 인한 출혈이 가능성을 확인해 봐야 하기 때문에 항문외과 내지는 동네 내과에 가서 확인을 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항문 질환이 아니라고 하면 대장 내시경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