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에게 자산 증여 시 세금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상속을 한다고 가정 시 세금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이럴 경우 상속세를 내야 할 것 같은데 과세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증여세는 부모님의 생존시에 재산을 무상으로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
자녀가 납부해야 하는 세금을, 상속세는 부모님의 사망시에 무상으로
재산이 상속이 될 경우 상속인인 자녀가 납부해야 할 세금을 말합니다.
부모님의 사망 등의 원인으로 부모님의 재산, 채무 등이 상속인인 자녀
등에게 상속이 되는 경우 상속인은 피상속인의 사망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까지 피상속인의 주소지 관할세무서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를 하는 경우 증여하는 재산의 가액에서 증여재산공제 5천만원(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원)을 공제한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하여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참고로 증여재산공제는 10년간 5천만원(미성년자인 경우 2천만원)을 한도로 공제되므로 증여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직계존속으로부터 증여를 받아 공제된 금액이 있는 경우 한도에서 그 금액을 차감한 금액이 공제됩니다.
안녕하세요. <세무회계 문>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피상속인의 사망시, 상속인으로서 자녀와 배우자가 있다면 최소 10억까지 공제가 되고, 자녀만 있다면 최소 5억까지 공제가 되어 납부할 상속세는 없습니다. 해당 공제금액을 초과한다면 아래의 세율로 상속세를 납부하게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