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노란누에137
노란누에13723.05.02

가을 하늘은 높다고 이야기하는데요 ?

가을 하늘은 높다고 이야기하는데요 ? 실제로 가을하늘을 바라보면 높은 감이 느껴지는데요

과학적으로 가을에 구름의 위치가 달라서 그렇게 느끼는 건가요? 그렇다면 가을에는 왜 구름의 높이가 높아 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이 높아보이는 이유는 날씨가 다른계절에 비해 맑고 오염물질이 없기 때문입니다. 빛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인 보라색은 우주에서 산란되고 그 다음 파장인 파란색이 산란되어 우리눈에 보이게 됩니다. 상대적으로 파란색이 더 많이 산란되어 더 파랗게 보이면 하늘이 더 높게 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미세먼지가 많은 날을 보시면 하늘에 낀 회색 먼지층 때문에 하늘이 크게 높다는 것을 체감하지 못하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 하늘은 높다"는 표현은 구름의 높이와 관련된 표현입니다. 가을에는 대기의 상층에 고기압이 형성되어 하늘에 구름이 걸리지 않고 맑은 날씨가 이어지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구름이 높게 느껴집니다. 이때, 구름이 높게 위치하면 하늘이 훨씬 높게 느껴지기 때문에 "가을 하늘은 높다"는 표현이 사용되곤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은 주관적인 느낌일 뿐, 구름의 높이 자체가 변화하는 것은 아닙니다. 구름의 높이는 온도, 습도, 공기압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계절이나 시간에 따라 구름의 높이가 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구름의 높이를 크게 바꾸는 정도는 아니며, 주관적인 느낌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과 습도의 영향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남풍~남서풍의 바람이 우세하게 불면서 덥고 습한 공기가 우리나라에 불어오게 됩니다.

    대기 중의 수증기 입자가 많으면 태양 빛을 흡수해 빛의 산란을 방해하는데요, 이런 이유로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하늘이 뿌옇게 보이게 됩니다.

    반면, 가을철에는 점차 찬 대륙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기온과 습도 모두가 낮아지는 시기입니다.

    가을철에는 지표 부근의 공기는 차가워지지만, 상층에는 여름 동안 달궈진 공기가 남아있어 전체적으로 안정된 대기를 유지합니다.

    결과적으로 가을엔 빛의 산란이 하늘 높이에서만 일어나고, 기온과 습도는 점차 낮아진 덕에 빛의 산란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하늘이 더 높아 보이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보통 비가 내린 다음 날의 하늘이 더욱 파랗게 보이는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