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4.01.17

아기일 때의 기억은 왜 없는 걸까요??

어렸을 적 기억은 몇 장면 빼고 없는 것 같아요.

특히 1~4살 정도 때는 아예 없는 것 같습니다.

아기일 때도 분명 이것저것 보고 들었을 텐데 왜 아기일 때의 기억을 못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릴적 아기때는 뇌 발달이 완전하지 못한 상태이기때문에 기억을 저장하는 기능은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릴떄 기억이 왜 없는지에 대한 이유는 정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유년시절의 뇌 신경발달이 미숙해서라는 이론, 성장과정에서 기억이 제거되었다는 이론, 기억자체를 저장하지 못해서라는 이론 등등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아기일때는 언어도 잘 모를뿐더러 사고라는 것을

    거의 할수가 없는 나이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말을 배우고 스스로 행동할수 있을때쯤 기억이 생기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아기일 때의 기억이 왜 없는지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사실 아기일 때의 기억은 어른이 되면서 잊혀지는 것이 아니라 아예 기억 자체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우리 뇌의 발달과 관련이 있어요. 아기가 태어나면 뇌는 아직 미성숙한 상태이고 기억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부족해요. 따라서 아기는 주변에서 받는 자극들을 단순히 처리하고 반응하는 것에 그치고 그 순간의 기억을 유지하지 못해요. 그래서 아기일 때의 기억은 나중에는 기억이 되지 않는 것이죠. 하지만 이후에 뇌가 발달하면서 기억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능력이 강해지고 그때부터는 기억이 형성되고 유지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뇌의 발달 과정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아기 시절의 기억은 없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죠. 하지만 이것은 우리 뇌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 정확하게 메커니즘이 정립된 이론은 없지만, 다양한 가설들이 존재합니다.

    어린시절의 신경망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강렬하지 않은 기억은 남아있지 않다는이론, 애초에 기억저장메커니즘이 유년시절에는 발달하지 않아 기억자체가 저장되어있지 않다는 이론, 중요한것을 먼저 학습하면서 기존의 기억이 삭제되었다는 이론 등등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뇌의 미성숙: 아기가 태어나면 뇌가 아직 미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기억을 형성하고 저장하기에 필요한 신경 회로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신경 연결의 부재: 아기의 뇌에서는 신경 연결이 아직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억을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언어 능력의 부재: 언어는 기억을 형성하고 나중에 회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기는 말을 할 수 없으며, 언어 능력이 제한적일 때는 기억을 단어로 표현하거나 연상하기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호정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나 대개 7세부터는 아이들이 그 이전의 기억들을 조금씩 지워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7세 이전에는 아기들이 아주 어릴 때의 사소한 기억들도 다 하게 되지만 7세가 넘어가면 수많은 새로운 정보들을 입력하고 학습하게 되명서 그 전의 기억들은 차차 지워가게 된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그래서 성인이 된 이후에는 어릴 때의 기억이 잘 나지ㅜ않게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아기일 때의 기억이 왜 없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나의 가능성은 아기의 뇌가 아직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서 기억을 형성하고 저장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시의 뇌는 성장중이어서 기억을 다 담지 못했던거죠. 결국 세포의 분열과 성장으로 그시대의 기억세포가 지워진거라고 보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17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영아기에는 전반적으로 뇌의 발달, 특히 기억과 관련된 해마와 전두엽의 발달이 미성숙합니다. 그래서 이시기에는 잘 기억을 못합니다.